제가 자~~알~~ 가는 카페에서 캡쳐했습니다.
뭐라 할지.....
내용은 두꺼비산들학교 풀잎이 정리해 주셨습니다.
각다귀
황각다귀 - 사람에게 해가 없다, 모기가 확대된 듯 크다.
더듬이긴노린재
꽈리허리노린재 - 허리부분이 들어감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삼점노린재 - 땅에서 많이 산다.
썩덩나무노린재 - 봄부터 일찍 나온다. 배추, 양배추 먹는다.
쐐기노린재 - 육식성이다. 찔러서 즙을 빨아먹는다.
알락무늬장님노린재 - 홑눈이 퇴화되어 없다.
작은주걱참나무노린재
송장헤엄치기(노린재류) - 즙을 빨아먹고 사는 공통점
곰개미 - 진딧물 먹음
물결넓적꽃등에 - 파리종류이다, 모양만 꿀벌, 침 없고 정지비행을 한다
밑들이파리매
작은 곤충을 잡아 먹는다
배짧은꽃등에 -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벌쌍살벌
양봉꿀벌 - 아카시아꿀, 잡화꿀을 만든다
재래꿀벌 - 토종꿀을 만든다.
수염꿀벌(꿀벌과) - 더듬이가 길다
버들꼬마잎벌레 - 버드나무에 많다.
호랑꽃무지
홍다리파리매
병대벌레
병대벌레류 - 꽃 있는곳에 많다. 작은 진딧물을 잡아 먹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가 잘 안되어 있다.
혹바구미 - 날개가 없다, 엉덩이에 뿔이 있다
* 주둥이바구미 -
뒤흰띠알락나방 애벌레
알락나방류 - 등이 노란색, 배 옆에서 방어물질(액)이 나온다. 알러지 일으킴. 우리나라에 800여종이 있다.
농작물을 해친다.
쐐기나방류 - 털이 없고 매끈하지만 쏜다. 우리가 좋아하는 작물을 먹는다.
매미나방 애벌레(독나방과)
털이 많고 빛깔이 화려하다. 알러지 가능성 있다.
자벌레
배다리가 없어 루프 모양이 된다. 가슴다리 3쌍, 꼬리다리(부족지)라 한다.
가슴다리는 나비가 되어 다리가 된다.
색깔이 빨강, 노랑등 털 있는 것은 피부 알러지 일으킨다.
자벌레는 600여종이 있고 배다리가 없고 나방이 된다.
* 자나방 - 크기 작은것
* 가지나방 - 두껍고 큰 것
애벌레는 적응력이 좋다. 입에서 실이 나온다- 나무 중간에 떨어진 것은 이동이 아니라 애벌레가 떨어질 때 입에서 실을 쏴서
매달려 있는 것이다. 실을 잡고 다시 올라간다.
배다리가 있고 털 있는 것 - 산림해충이다. 털 끝에 찔리면 알러지 일으킬 수도....
자나방은 우리나라에 600여종이 있다.
털이 많다, 우리가 조심해야 한다.
까마귀밤나방류 애벌레
이른봄 밤나방 애벌레
배노랑물결자나방
나방은 여름이 되어야 어른 벌레가 된다.
물결자나방 종류 - 더듬이가 일자형이다(실모양)
부전나비
부전나비 - 작은나비를 말함. 50여종이 넘는다.
우리나라 나비 중 작고 알록달록한 것을 총칭한다. 빛깔이 화려하다.
북한에서는 아랫면 빛깔이 칙칙한 것을 숫돌나비라고 한다.
큰주홍부전나비
부전나비 중 큰 편이다. 윗 날개가 주홍색이다.
검정빗살방아벌레
긴알락하늘소
좁쌀메뚜기 - 제일 작다
모메뚜기 - 작물에 해가 없다. 작물이 죽은 것만 먹는다.
밑들이메뚜기 약충
좀날개여치 - 어른이 되어야 날개 나온다.
여치류 - 몸 길이와 날개 길이가 비슷하다. 좀날개여치와 잔날개 여치로 나뉜다.
베짱이류 - 날개 길이가 길다.
끝검은말매미충
무당벌레 유충
칠성무당벌레
딱정벌레 종류(등 껍질이 딱딱한 것)-무당벌레과
1. 칠성무당벌레
2. 무당벌레
3. 큰이십팔점무당벌레 - 작물을 먹는다.
큰이십팔점무당벌레
밀 잠자리가 가장 일찍 나오고 고추 잠자리는 가을에 나온다
곤충이 식물의 3배 많다.
거미 - 다리 4쌍, 절지동물
앞 짧은 더듬이는 더듬이 다리이다.
'들살이 갤러리 > 2013 그 외 모든 들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안내자교육(13130617)-수서생물 (1) | 2013.06.21 |
---|---|
안서초병설유치원사진(130612)진달래 (0) | 2013.06.12 |
6월3일 한영식 선생님과 함께 하는 곤충수업 (0) | 2013.06.04 |
안서초병설유치원사진(130522)진달래 (1) | 2013.05.23 |
2013년 숲안내자 교육(0520) (0) | 201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