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자벌레-배다리가 없어 루프 모양된다.가슴다리 3쌍, 꼬리다리 (부족지)라 한다.
가슴다리는 나비가되어도 다리 된다.
색깔이 빨강,노랑,털 있는것은 피부 알러지 일으킨다.
600여종이 있다.배다리가 없다..후에 나방된다 ---====1.자나방: 크기 작은것 2.가지나방 ;두껍고 큰것
애벌레는 적응력이 좋다. 잎에서 실이 나온다.나무 중간에 떨어진것은 이동이 아니라 떨어진것이다.
애벌레 중 배다리가 있고 털이 없는것- (조심한다) 우리가 좋아하는 작물을 먹는다.
배다리가 있고 털 있는것 ----산림해충이다...털 끝에 찔리면 알러지 일으킨다.
자나방 은 우리나라에 600여종이 있다
독나방종류, -털이 많다.우리가 조심해야 한다
쇄기나방 ---털이 없다..쏜다.매끈하다. 우리가 좋아하는 작물을 먹는다.
알락나방--등이 노랑색.배 옆에서 방어물질(액) 나옴 -알러지 일으킴..똥은 괜찮다.
부전나비--우리나라 나비중 작고 알록달록한것을 총칭한다.빛깔이 화려하다. 북한에서는 아랫면 빛깔이 칙칙한것을 숫돌나비라 한다.
딱정벌레 종류(등 껍질이 딱딱한것)-무당벌레과
1.칠성무당벌레
2.무당벌레
3.큰 이십팔점박이 부당벌레--작물을 먹는다."큰 "자가 들어간다
무당벌레 유충
무당벌레 번데기
꽃무지--호랑꽃무지
꽃벼룩-(딱정벌레 종류)-망초꽃에 있다.
병대벌레류--꽃있는데 많다.작은 진딧물을 잡아 먹는다. 우리나라에서 연구가 잘 안되어 있다.
검정 빗살 방아벌레
버들꼬마 잎벌레 --버드나무에 많다.
바구미-1.혹 바구미 : 날개 없다. 엉덩이에 뿔이 있다.
2.주둥이 바구미
머리 먼지 벌레(딱정벌레류)--모르는 사람은 바퀴벌레라 한다.
우리나라에 나비는 200여종이 있다
나비 --1.부전나비 ....작은 나비를 말함..50여종이 넘는다
2. 큰 주홍 부전나비..부전나비 중 큰 편이다.위 날개가 주홍색이다.
나방 ----여름이 되어야 어른 벌레가 된다.
물결 자나방 종류 ===더듬이가 일자다. (실모양이다)
독나방과 ---1.매미나방; 털 많다,빛깔이 화려하다.알러지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2.독 나방--털 많다.
뒤 흰띠 알락나방유충--어른이 되어야 알수 이다.우리나라에 800여종이 있다. 농작물을 해친다.
벌 ----1.양봉꿀벌--아카시아꿀, 잡화꿀을 만든다.
2. 재래꿀벌 --토종꿀을 만든다
수염줄벌--꿀벌과 더듬이가 길다.
잎벌유충--산란관 퇴화 .애벌레 시절 잎을 먹음 .머리가 구슬처럼 동그랗다.원시 벌이다. 보통 파리라함
황각다귀 --사람에게 해가 없다.모기가 확대된듯 크다.
검정각다귀
파리매---작은 곤충을 잡아멱음
물결넙적꽃등애 --파리종류이다.모양만 꿀벌이다. 침 없다. 정지비행한다.
홍다리 파리매
배짧은 꽃등애---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다.
노린재
꽈리허리 노린재--허리부분이 들어감
시골가시 허리 노린재
더듬이 긴 노린재
썩덩나무 노린재 ; 봄부터 일찍 나온다.배추.양배추 먹음
홍비단 노린재
북쪽비단 노린재 ; 거꾸로 보면 할아버지 얼굴 모양이다.
장님 노린재 :우리나라에 180여종이 있다.
알락무늬 장님 노린재 ; 홑눈이 없다. 퇴화 됬다.
상점 땅 노린재 -땅에 많이 산다.
참나무 노린재
작은 주걱 참나무 노린재
쐐기 노린재--육식성이다 ;찔러서 즙을 빨아 먹는다.
노린재류;-----끝검은 말 매미충
송장 헤엄치게 (노린재류)--즙을 빨아 먹음.공통점이다.
곰개미--진딧물 먹음
혹벌 --혹벌이라는 기생벌 종류이다
밀 잠자리-일찍나옴
고추잠자리 -가을에 나온다.
아시아 실잠자리 -흔히 볼수 있다.
좀날개여치 애벌레-어른되야 날개 나온다.
잔날개 여치
배짱이 애벌레 ---- 배짱이.여치는 더듬이가 실처럼 길다.
실배짱이 애벌레
밑들이 메뚜기
좁쌀 메뚜기 ---제일 적다.
모 메뚜기 -작물에 해가 없다. 작물이 죽은것만 먹는다.
거미 --다리 4쌍 .절지동물중 거미류이다. 앞 짧은 더듬이는 더듬이 다리이다.
여치류 1.여치--몸길이와 날개길이가 비슷하다. 좀날개 여치와 잔날개 여치로 나뉜다.
2.베짱이 --날개길이가 길다
곤충이 식믈의 3배 더 많다.
가슴다리는 나비가되어도 다리 된다.
색깔이 빨강,노랑,털 있는것은 피부 알러지 일으킨다.
600여종이 있다.배다리가 없다..후에 나방된다 ---====1.자나방: 크기 작은것 2.가지나방 ;두껍고 큰것
애벌레는 적응력이 좋다. 잎에서 실이 나온다.나무 중간에 떨어진것은 이동이 아니라 떨어진것이다.
애벌레 중 배다리가 있고 털이 없는것- (조심한다) 우리가 좋아하는 작물을 먹는다.
배다리가 있고 털 있는것 ----산림해충이다...털 끝에 찔리면 알러지 일으킨다.
자나방 은 우리나라에 600여종이 있다
독나방종류, -털이 많다.우리가 조심해야 한다
쇄기나방 ---털이 없다..쏜다.매끈하다. 우리가 좋아하는 작물을 먹는다.
알락나방--등이 노랑색.배 옆에서 방어물질(액) 나옴 -알러지 일으킴..똥은 괜찮다.
부전나비--우리나라 나비중 작고 알록달록한것을 총칭한다.빛깔이 화려하다. 북한에서는 아랫면 빛깔이 칙칙한것을 숫돌나비라 한다.
딱정벌레 종류(등 껍질이 딱딱한것)-무당벌레과
1.칠성무당벌레
2.무당벌레
3.큰 이십팔점박이 부당벌레--작물을 먹는다."큰 "자가 들어간다
무당벌레 유충
무당벌레 번데기
꽃무지--호랑꽃무지
꽃벼룩-(딱정벌레 종류)-망초꽃에 있다.
병대벌레류--꽃있는데 많다.작은 진딧물을 잡아 먹는다. 우리나라에서 연구가 잘 안되어 있다.
검정 빗살 방아벌레
버들꼬마 잎벌레 --버드나무에 많다.
바구미-1.혹 바구미 : 날개 없다. 엉덩이에 뿔이 있다.
2.주둥이 바구미
머리 먼지 벌레(딱정벌레류)--모르는 사람은 바퀴벌레라 한다.
우리나라에 나비는 200여종이 있다
나비 --1.부전나비 ....작은 나비를 말함..50여종이 넘는다
2. 큰 주홍 부전나비..부전나비 중 큰 편이다.위 날개가 주홍색이다.
나방 ----여름이 되어야 어른 벌레가 된다.
물결 자나방 종류 ===더듬이가 일자다. (실모양이다)
독나방과 ---1.매미나방; 털 많다,빛깔이 화려하다.알러지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2.독 나방--털 많다.
뒤 흰띠 알락나방유충--어른이 되어야 알수 이다.우리나라에 800여종이 있다. 농작물을 해친다.
벌 ----1.양봉꿀벌--아카시아꿀, 잡화꿀을 만든다.
2. 재래꿀벌 --토종꿀을 만든다
수염줄벌--꿀벌과 더듬이가 길다.
잎벌유충--산란관 퇴화 .애벌레 시절 잎을 먹음 .머리가 구슬처럼 동그랗다.원시 벌이다. 보통 파리라함
황각다귀 --사람에게 해가 없다.모기가 확대된듯 크다.
검정각다귀
파리매---작은 곤충을 잡아멱음
물결넙적꽃등애 --파리종류이다.모양만 꿀벌이다. 침 없다. 정지비행한다.
홍다리 파리매
배짧은 꽃등애---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다.
노린재
꽈리허리 노린재--허리부분이 들어감
시골가시 허리 노린재
더듬이 긴 노린재
썩덩나무 노린재 ; 봄부터 일찍 나온다.배추.양배추 먹음
홍비단 노린재
북쪽비단 노린재 ; 거꾸로 보면 할아버지 얼굴 모양이다.
장님 노린재 :우리나라에 180여종이 있다.
알락무늬 장님 노린재 ; 홑눈이 없다. 퇴화 됬다.
상점 땅 노린재 -땅에 많이 산다.
참나무 노린재
작은 주걱 참나무 노린재
쐐기 노린재--육식성이다 ;찔러서 즙을 빨아 먹는다.
노린재류;-----끝검은 말 매미충
송장 헤엄치게 (노린재류)--즙을 빨아 먹음.공통점이다.
곰개미--진딧물 먹음
혹벌 --혹벌이라는 기생벌 종류이다
밀 잠자리-일찍나옴
고추잠자리 -가을에 나온다.
아시아 실잠자리 -흔히 볼수 있다.
좀날개여치 애벌레-어른되야 날개 나온다.
잔날개 여치
배짱이 애벌레 ---- 배짱이.여치는 더듬이가 실처럼 길다.
실배짱이 애벌레
밑들이 메뚜기
좁쌀 메뚜기 ---제일 적다.
모 메뚜기 -작물에 해가 없다. 작물이 죽은것만 먹는다.
거미 --다리 4쌍 .절지동물중 거미류이다. 앞 짧은 더듬이는 더듬이 다리이다.
여치류 1.여치--몸길이와 날개길이가 비슷하다. 좀날개 여치와 잔날개 여치로 나뉜다.
2.베짱이 --날개길이가 길다
곤충이 식믈의 3배 더 많다.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조합이해하기 (0) | 2013.03.04 |
---|---|
교수자 자기 평가 체크리스트 (0) | 2013.02.13 |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의 차이 (0) | 2013.01.22 |
좀깨잎나무와 거북꼬리의 비교사진 (2) | 2012.09.06 |
숲안내자교육3강-구름산의 숲과나무(박병권샘) (3) | 201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