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멸종위기종의 보호와 야생조류 관찰법
이한수(한국환경생태연구소 소장, 동아대학교 겸임교수)
푸른광명21 숲안내자 교육 초, 중급반 수업에 조류에 대해서 공부한다기에
아주 듣기 쉽지 않은 강의여서 우리 두꺼비들도 함께 했다.
민들레는 귀여운 아들 현민이 퇴원 때문에, 여울각시는 학원이 아주 바빠서 참석하지 못했다. 무척 아쉬워했다.
샛별, 때죽나무, 둥글레, 메꽃, 수수꽃다리가 함께 수업을 들었다.
멸종위기종의 보호
0. 환경오염, 부분별한 개발로 생물의 멸종속도가 근래 들어 가속화
0. 특히 생물종의 보고인 열대강우림의 파괴로 수많은 종이 미쳐 학계에 보고되기 전에
사라짐
0. 기록된 종이 현재 약 160만종이나 보고되지 않은 종을 합쳐 천만종 이상으로 예상
0. 멸종원인(조류의 경우) : 서식지 파괴(60%), 남획(29%), 도입종과의 경쟁 (11%)
0. 조류의 경우 1,000종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
0. 종 보호의 필요성
1. 생태계의 구성요소
2. 유전적 다양성
3. 심미적 역할
4. 경제적 역할
0. 조류의 보호가 특히 강조되는 이유
1. 관찰이 용이
2. 크기가 비교적 크고 아름다움
3. 장거리 이동을 함으로써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
0. 리우데자네이로 정상회담 :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회의
- 1992년 6월
- 생물다양성 협약에 서명
- 생물다양성 : 살아있는 유기체의 모든 범위, 종의 다양성 및 생태계 다양성을 내포
- 목적 : 생물의 종을 보존하고 멸종 위기종을 최대한 복원함
- 지구상에 잔존하는 생물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는 지역을 선별하여 보존
0. 생물종의 보존
- 서식지 보호 : 번식지, 채식지, 휴식지, 은신처
- 최소한의 자연보호지역 선정 보존 : 천연기념물, 국립공원, 생태계 보
존지역 등 산림, 습지, 하천, 갯벌, 바다 등, 주요 생태계를 모두 포함 한다.
- 갯벌 : 도요류를 포함한 물새류와 무척추동물의 주요 서식지
- 인공번식에 의한 종의 보존 : 각국의 동물원에서 야생상태에서 생존할 수 없는 종을
번식시켜 종족 유지, 자연생태계가 회복되면 야싱에 방사
예) 캘리포니아콘돌, 미국흰두루미 등 오랜 경험과 충분한 사육시설이 필요
0. 종의 보호에는 종 자체뿐만 아니라 그들의 번식지 등의 서식지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
한국의 조류에 대해
0. 전 세계의 조류 : 약 9,000여종
0. 한국의 조류 - 450여종
- 나그네새 : 도요, 물떼새
- 여름철새 : 백조류, 뻐꾸기, 꾀꼬리, 제비, 호랑지빠귀
- 겨울철새 : 오리, 기러기, 고니류, 저어새
- 텃새 : 산림성조류(참새, 박새, 곤줄박이, 딱새, 노랑턱멧새)
- 미조 : 태풍등으로 우연히 찾아오는 새
야생조류 관찰법
1. 조류의 특징
- 몸에 깃털이 나 있다.(포유류와 다른점)
- 기온에 관계없이 일정 체온을 유지(42~43〫°C)
- 딱딱한 부리와 비늘로 덮인 다리를 가지고 있다.(파충류로부터 조류가 진화했다???)
- 몸은 날기에 좋은 구조로 되어 있고 뼈가 비어있고 가슴 근육이 몸무게의 절발을
차지할 정도로 발달되어 있다
2. 조류의 조사를 위한 준비
1) 복장
- 새는 시력이 발달하고 색깔도 예민하게 구분한다.
밝은 색깔의 옷은 입지 않으며 녹색이나 갈색 계통의 옷이 좋다
신발은 등산화가 좋은 것이다.
2) 장비
가) 쌍안경
주로 7~8배의 배율이 적당
망원경 20~25배 배율, 조류도감 및 기타 삼각대
나) 관찰기록
(1)소리 : song(번식기 때 울음소리), call(비번식기 때 울음소리)
(2) 일시 (3) 장소 (4) 종명 (5) 행동 및 특징 (6) 주위환경
(7) 기타 : 조류 조사시 느낀점 등을 기록
3. 조류를 발견하는 방법
1) 눈과 귀를 활동
2) 새들이 즐겨 찾는 장소
가) 먹이 먹는 장소 - 새가 어떤 먹이를 좋아하는지 알면 그 먹이가 있는 장소를 찾는
것이 새를 발견하는 쉬운 방법이다.
나) 물을 먹는 장소와 목욕하는 장소
다) 쉬는 장소와 조망하는 곳
라) 하늘
간단히 요약했지만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여러 가지 새 사진과 함께,
또 새들의 울음소리도 들으며 구별했는데 안타깝게 함께 싣지 못해 무지 무지 아쉽다.
그냥 편안하게 한 번 읽어 보시길.....
담주에 서산 천수만으로 새 보러 갈수도 있어요
이한수(한국환경생태연구소 소장, 동아대학교 겸임교수)
푸른광명21 숲안내자 교육 초, 중급반 수업에 조류에 대해서 공부한다기에
아주 듣기 쉽지 않은 강의여서 우리 두꺼비들도 함께 했다.
민들레는 귀여운 아들 현민이 퇴원 때문에, 여울각시는 학원이 아주 바빠서 참석하지 못했다. 무척 아쉬워했다.
샛별, 때죽나무, 둥글레, 메꽃, 수수꽃다리가 함께 수업을 들었다.
멸종위기종의 보호
0. 환경오염, 부분별한 개발로 생물의 멸종속도가 근래 들어 가속화
0. 특히 생물종의 보고인 열대강우림의 파괴로 수많은 종이 미쳐 학계에 보고되기 전에
사라짐
0. 기록된 종이 현재 약 160만종이나 보고되지 않은 종을 합쳐 천만종 이상으로 예상
0. 멸종원인(조류의 경우) : 서식지 파괴(60%), 남획(29%), 도입종과의 경쟁 (11%)
0. 조류의 경우 1,000종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
0. 종 보호의 필요성
1. 생태계의 구성요소
2. 유전적 다양성
3. 심미적 역할
4. 경제적 역할
0. 조류의 보호가 특히 강조되는 이유
1. 관찰이 용이
2. 크기가 비교적 크고 아름다움
3. 장거리 이동을 함으로써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
0. 리우데자네이로 정상회담 :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회의
- 1992년 6월
- 생물다양성 협약에 서명
- 생물다양성 : 살아있는 유기체의 모든 범위, 종의 다양성 및 생태계 다양성을 내포
- 목적 : 생물의 종을 보존하고 멸종 위기종을 최대한 복원함
- 지구상에 잔존하는 생물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는 지역을 선별하여 보존
0. 생물종의 보존
- 서식지 보호 : 번식지, 채식지, 휴식지, 은신처
- 최소한의 자연보호지역 선정 보존 : 천연기념물, 국립공원, 생태계 보
존지역 등 산림, 습지, 하천, 갯벌, 바다 등, 주요 생태계를 모두 포함 한다.
- 갯벌 : 도요류를 포함한 물새류와 무척추동물의 주요 서식지
- 인공번식에 의한 종의 보존 : 각국의 동물원에서 야생상태에서 생존할 수 없는 종을
번식시켜 종족 유지, 자연생태계가 회복되면 야싱에 방사
예) 캘리포니아콘돌, 미국흰두루미 등 오랜 경험과 충분한 사육시설이 필요
0. 종의 보호에는 종 자체뿐만 아니라 그들의 번식지 등의 서식지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
한국의 조류에 대해
0. 전 세계의 조류 : 약 9,000여종
0. 한국의 조류 - 450여종
- 나그네새 : 도요, 물떼새
- 여름철새 : 백조류, 뻐꾸기, 꾀꼬리, 제비, 호랑지빠귀
- 겨울철새 : 오리, 기러기, 고니류, 저어새
- 텃새 : 산림성조류(참새, 박새, 곤줄박이, 딱새, 노랑턱멧새)
- 미조 : 태풍등으로 우연히 찾아오는 새
야생조류 관찰법
1. 조류의 특징
- 몸에 깃털이 나 있다.(포유류와 다른점)
- 기온에 관계없이 일정 체온을 유지(42~43〫°C)
- 딱딱한 부리와 비늘로 덮인 다리를 가지고 있다.(파충류로부터 조류가 진화했다???)
- 몸은 날기에 좋은 구조로 되어 있고 뼈가 비어있고 가슴 근육이 몸무게의 절발을
차지할 정도로 발달되어 있다
2. 조류의 조사를 위한 준비
1) 복장
- 새는 시력이 발달하고 색깔도 예민하게 구분한다.
밝은 색깔의 옷은 입지 않으며 녹색이나 갈색 계통의 옷이 좋다
신발은 등산화가 좋은 것이다.
2) 장비
가) 쌍안경
주로 7~8배의 배율이 적당
망원경 20~25배 배율, 조류도감 및 기타 삼각대
나) 관찰기록
(1)소리 : song(번식기 때 울음소리), call(비번식기 때 울음소리)
(2) 일시 (3) 장소 (4) 종명 (5) 행동 및 특징 (6) 주위환경
(7) 기타 : 조류 조사시 느낀점 등을 기록
3. 조류를 발견하는 방법
1) 눈과 귀를 활동
2) 새들이 즐겨 찾는 장소
가) 먹이 먹는 장소 - 새가 어떤 먹이를 좋아하는지 알면 그 먹이가 있는 장소를 찾는
것이 새를 발견하는 쉬운 방법이다.
나) 물을 먹는 장소와 목욕하는 장소
다) 쉬는 장소와 조망하는 곳
라) 하늘
간단히 요약했지만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여러 가지 새 사진과 함께,
또 새들의 울음소리도 들으며 구별했는데 안타깝게 함께 싣지 못해 무지 무지 아쉽다.
그냥 편안하게 한 번 읽어 보시길.....
담주에 서산 천수만으로 새 보러 갈수도 있어요
320x100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에 좋은 사과 (1) | 2007.11.28 |
---|---|
겨울방학동안 코딱지와 함께 물한리에서 지낼 친구들 모여라~~~ (0) | 2007.11.28 |
[필독!!]담 주 화요일에는... (2) | 2007.11.21 |
천연 염색하는 날 (2) | 2007.11.15 |
내일(화) 선물용 스카프 염색합니다 (1) | 2007.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