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이인식/과학문화연구소장
한강 밤섬의 청둥오리, 철원평야의 쇠기러기, 팔당대교의 큰고니, 임진각의 두루미, 천수만의 가창오리. 시베리아 등지에서 날아와 한반도에서 겨울을 나는 대표적인 철새들이다.
청둥오리와 쇠기러기는 흔한 겨울철새이지만 큰고니와 두루미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로 희귀하다. 특히 세계적인 희귀조인 가창오리는 전세계의 95%가 한반도로 찾아온다. 30만마리의 가창오리가 해질녘 하늘로 날아오르면서 펼치는 화려한 군무는 장관이 아닐 수 없다.
철새들은 대륙과 해양을 횡단하면서 하늘에서 길을 잃지 않는다. 예컨대 북극의 제비갈매기는 해마다 유럽과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1만 9000㎞ 떨어진 남극으로 이동해 겨울을 지낸다. 매년 3만8000㎞를 비행하는 셈이다. 인도기러기는 9000m 높이에서 하늘을 날며 히말라야 산맥을 넘는다. 미국 동부의 검은머리솔새는 중간에 한 번도 쉬지 않고 나흘 동안 비행하여 남아메리카 해변에 당도한다.
아주 조그만 철새들이 한 대륙에서 다른 대륙으로 먼 거리를 이동한 뒤 정확한 위치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까닭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철새들은 항공기 못지않게 발달된 비행 메커니즘을 갖고 있음에 틀림없다. 다시 말해 새들은 위치를 알려주는 지도와 방향을 일러주는 나침반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길을 잃지 않는 것이다.
새들은 태양, 별, 각종 항로 표지 그리고 지구의 자장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해서 현재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철새에게 가장 중요한 나침반은 수많은 별이라는 게 학계의 오래된 정설이었다. 지구의 자장은 별이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을 때 간혹 활용되는 보조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1996년 독일 과학자들이 종래의 이론을 뒤집는 새로운 사실을 발표했다. 이들은 실험을 통해 새에게 가장 중요한 나침반은 별이 아니라 지구의 자장임을 보여주었다. 새들은 뇌 안에 작은 자석을 갖고 있다. 뇌 속의 자철광은 지구의 자장과 같은 방향을 취함으로써 나침반 노릇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 결과 역시 모든 철새의 이동 능력을 설명하지는 못했다. 요컨대 철새들이 이동하는 방법은 과학이 아직까지 풀지 못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며칠 뒤면 설날이다. 수백만명이 객지에서 지친 몸을 이끌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민족 대이동을 보면서 안식처를 찾아 귀환하는 철새 떼를 떠올리는 것은 인지상정이 아닐는지.
◇ 참고자료
△ 철새정보 www.megalam.co.kr
※ 이 글은 '한겨레신문'에 '이인식의 과학나라' 코너로 연재된 칼럼입니다.
한강 밤섬의 청둥오리, 철원평야의 쇠기러기, 팔당대교의 큰고니, 임진각의 두루미, 천수만의 가창오리. 시베리아 등지에서 날아와 한반도에서 겨울을 나는 대표적인 철새들이다.
청둥오리와 쇠기러기는 흔한 겨울철새이지만 큰고니와 두루미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로 희귀하다. 특히 세계적인 희귀조인 가창오리는 전세계의 95%가 한반도로 찾아온다. 30만마리의 가창오리가 해질녘 하늘로 날아오르면서 펼치는 화려한 군무는 장관이 아닐 수 없다.
철새들은 대륙과 해양을 횡단하면서 하늘에서 길을 잃지 않는다. 예컨대 북극의 제비갈매기는 해마다 유럽과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1만 9000㎞ 떨어진 남극으로 이동해 겨울을 지낸다. 매년 3만8000㎞를 비행하는 셈이다. 인도기러기는 9000m 높이에서 하늘을 날며 히말라야 산맥을 넘는다. 미국 동부의 검은머리솔새는 중간에 한 번도 쉬지 않고 나흘 동안 비행하여 남아메리카 해변에 당도한다.
아주 조그만 철새들이 한 대륙에서 다른 대륙으로 먼 거리를 이동한 뒤 정확한 위치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까닭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철새들은 항공기 못지않게 발달된 비행 메커니즘을 갖고 있음에 틀림없다. 다시 말해 새들은 위치를 알려주는 지도와 방향을 일러주는 나침반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길을 잃지 않는 것이다.
새들은 태양, 별, 각종 항로 표지 그리고 지구의 자장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해서 현재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철새에게 가장 중요한 나침반은 수많은 별이라는 게 학계의 오래된 정설이었다. 지구의 자장은 별이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을 때 간혹 활용되는 보조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1996년 독일 과학자들이 종래의 이론을 뒤집는 새로운 사실을 발표했다. 이들은 실험을 통해 새에게 가장 중요한 나침반은 별이 아니라 지구의 자장임을 보여주었다. 새들은 뇌 안에 작은 자석을 갖고 있다. 뇌 속의 자철광은 지구의 자장과 같은 방향을 취함으로써 나침반 노릇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 결과 역시 모든 철새의 이동 능력을 설명하지는 못했다. 요컨대 철새들이 이동하는 방법은 과학이 아직까지 풀지 못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며칠 뒤면 설날이다. 수백만명이 객지에서 지친 몸을 이끌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민족 대이동을 보면서 안식처를 찾아 귀환하는 철새 떼를 떠올리는 것은 인지상정이 아닐는지.
◇ 참고자료
△ 철새정보 www.megalam.co.kr
※ 이 글은 '한겨레신문'에 '이인식의 과학나라' 코너로 연재된 칼럼입니다.
320x100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 눈썰매타러 가요~ (2) | 2004.01.28 |
---|---|
관찰일기 (2) | 2004.01.26 |
세배 (1) | 2004.01.21 |
사라져 가는 우리의 들꽃 모음 구경하세요. ~^^ (1) | 2004.01.18 |
물고기의 성전환 (1) | 200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