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곤충

2013.3.07. 곤충탐사1(청계산)

320x100

곤충생태교육연구소 한영식 소장님과 함께 올해 곤충탐사 수업을 듣는다.

3월7일  첫 수업!

3월7일이면 이른 봄이다.  이른 봄은 강도래 우화시기이고, 겨울잠을 자고난 애벌레도  클 만큼 켜져서 보기에 좋은 시기이다.

-돌 밑. 나무, 낙엽 쌓인 따뜻한 곳이나 나무 속을 보면 보인다.


곤충은 워낙 그 종류가 많아서 각각 종의 이름을 모두 알긴 어렵다. 대신 목 정도로만 구분해도 훌륭하다.

우리나라의 곤충의 그룹은 

1. 딱정벌레 목-3500 여종 (무당벌레. 잎벌레. 먼지벌레. 방아벌레. 거위벌레. 바구미 등)

2. 나비목-3200여종 (나비. 나방 )

3. 벌목 - 2100여종(잎벌, 꿀벌, 말벌, 개미)

4. 노린재목- 1600여종(매미. 매미충, 거품벌레, 진딧물, 침노린재, 쐐기노린재, 노린재, 공대노린재, 허리노린재 등)

5. 파리목 - 1200여종(파리. 모기. 꽃등에. 파리매. 각다귀)

6. 메두기목 - 130여종(메뚜기. 귀뚜라미. 여치. 베짱이)

7. 잠자리목-106종(실잠자리. 물잠자리. 잠자리)

8. 기타곤충류 - 2000여종(사마귀. 집게벌레. 하루살이. 날도래. 강도래. 대벌레. 밑들이 등)


1. 가장 먼저  본 것은 강도래붙이( 그냥 강도래라 하면 된다.) 영어로는 stone fly라고 부른단다. 돌파리! ㅎㅎㅎ
2. 홍날개 애벌레 (딱정벌레 목) 나무껍질 밑에 살아서 납작하다. 
    꼬리 돌기가 있다. 가슴다리 3쌍이 확실히 보인다. 4월말~5월초에 성충이 된다.
3. 맴돌이 거저리 애벌레-철사벌레형 (딱정벌레 목)


4. 우묵거저리 애벌레(딱정벌레 목) - 턱이 발달


곤충생태교육연구소 카페에서 가져온 사진.. 우묵거저리입니다.


5. 보라거저리애벌레 - 턱 발달(딱정벌레 목) 홍날개 애벌레랑 비슷해보이지만 얘는 홍날래애벌레에게 있는 꼬리돌기가 없다!

6. 사슴벌레 애벌레-굼벵이형(몸을 C자형으로 말고 있다.) 굼벵이형 애벌레를 가진 곤충- 풍뎅이. 하늘소등
   사슴벌레 유충과 장수하늘소 유충 비교- 사슴벌레유충은 머리가 연갈색이다(작은 가지에 있으면 애사슴벌레/ 나무 밑둥에 있으면 넙적사슴벌레)/ 장수하늘소 유충 머리는 진갈색이다.

7.방아벌레-딱정벌레목



8. 돌지네
   다리가 많은 다지류들 엄청 헷갈린다. 지네와 노래기 구별법- 건드리면 몸을 동그랗게 말면 노래기/ 동그랗게 말지 않으면 지네
  예전에 돈벌레라 불렸던 것은 집그리마다. 집그리마는 집안의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이다.


비교를 위해 노래기 사진도 빌려옴.


9. 멸강나방- 중국에서 유입되어 작년에 대 발생을 했다. 벼과식물에 피해를 입혔다.

10. 유리산누에나방고치- 고치상태로 있지만 안에서 배변도 한다. 오른쪽 아래 구멍이 난 것은 변을 바깥으로 버리는 화장실?
   나방들은 보통 한 번에 2천개의 알을 낳는다. 엄청나게 많이 낳는 것이지만 고치벌들이 기생을 많이 해서 대부분 끝까지 살지 못    한다. 그래서 더 많이 알을 낳으려고 하는지도... 
 유리산누에나방고치랑 비슷한 녀석이 참나무산누에나방고치이다. 참나무 그것이 유리산그것보다 고치가 더 동그랗고 똥똥하다.

11. 매미나방 알집

12. 사진은 없지만 파리목의 파리류와 등에 애벌레의 특징은 구데기형이고 다리가 없다(무각류)
      파리목 각다귀류 애벌레 사진을 빌려옴- 곤충생태교육연구소 카페에서


     그리고 곤충은 아니지만 거미류 중 돌아다니는 거미류
      -늑대거미 : 이른 봄 활동을 하고 있었다.이것은 성충으로 겨울을 난 다는 이야기
      -깡충거미 : 깡깡충 뛰어다닌다.
      -게거미   ㅣ 몸 통이 동그랗다.

함께 공부하는 샘들
 선상님 : 한영식
학생들 : 쇠비름. 김오문(숲해설가). 겨울눈(이소저- 수리산 삼림욕장 농원). 사랑겨이(김옥자-수리산자연학교). 세상천지(이정옥-이천). 사과나무(최윤주-용인 사계절생태학교.) 이우종(수원-하천전문가). 조약돌(두꺼비산들학교).민들레(두꺼비산들학교)

이상끝.

320x100

'자료실 > 곤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0502 수서곤충  (1) 2013.05.02
20130404 곤충3  (4) 2013.04.04
20130404 곤충2  (0) 2013.04.04
20130404 곤충  (4) 2013.04.04
겨울을 나는 곤충-하늘지기  (0) 201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