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4월29일 군집 생태학

320x100
4월 29일 강의내용입니다.
강의내용은 생태학이었는데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지구는 이산화탄소가 9-10%가되면 근육동물은 소멸하고 24-25%가되면 모든 것이 자연 소멸 된다고 합니다. 또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은 태양의 주기변화 즉 태양흑점의 폭발로 인해 우리지구에 가해지는 열에너지 때문에 지구의 온도 변화가 생긴다는 말씀이셨습니다. 지구의 80%가 물이고 20%가대륙인데
그중 사람이 살 수 있는 땅은 6-7%정도에 불가하며 이로인해 지구의 이상기온이 생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
것이었습니다.  교수님의 강의내용이 지난주와 많이 달라 혼돈이 되기도 했지만 태양으로 인해 변하는 온도변화에 인간은 가속화를 시킨다는 것으로 받아들엿습니다.
생태학에 대한 내용은 푸른광명 21에서 올린자료를 다시올립니다.

* 마드지 에 아마포를 고정시킨뒤 진흙을 바르고 말리기를 수차례해서
돌로 두드려 먼지를 발생시키면 공기정화에 탁월한효과를 준다고 합니다.              
                                                                  
                                                                              
♣ 군집생태학이란
  :개체군으로 이루어진 군집을 형성하는 생물체들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분야
   군집은 일정한 장소에서 공존하는 생물집단으로 정의

♣ 상호관계의 종류
   공생  / 경쟁 / 경쟁의 배제적원리 / 경쟁의 효과 / 자원이용형 경쟁과 직접간접형 경쟁
   종간 상호작용 / 육식성과 초식성 / 기생 / 타감작용 / 편리공생 / 원시협동과 상리공생

♣ 공생-symbiosis
   다른 생물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야 생물의 생존이 가능
   장기적인 밀접한 상호관계를 공생이라 함
   이익의 발생유형으로 보아, 기생(parasitism), 편리공생(commensalilsm),
   원시협동(protocooperation),  상리공생(mutualism)  등이  있음

♣ 경쟁-competition
  생태적 지위가 다를 경우 - 군집내 공생가능
  지위가 중복되어도 경쟁으로 공생가능
  요구조건이 유사할수록 지위는 중복되고 경쟁이 격하게 됨
  동종은 동일 조건을 요구하므로 종내 경쟁(intraspecific competition)이 종간 경쟁(interspecific competition)보다       치열

♣ 경쟁적 배제의 원리
  생태적 지위가 중복되는 경우 경쟁을 통해 지위를 확보하는 종이 보다 유리한 환경과 자원을 차지하는 것을 말함
- "하나의 지위, 하나의 종" 원리를 만들게 됨
   그러나 자연계에서 쉽게 발생되지 않음.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환경과 자원이 고갈되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
   갈라파고스 섬 - 염소와 거북이의 경쟁

♣ 경쟁의 효과
    경쟁의 결과가 배제인 것만은 아님
    잠재적인 경쟁자가 다른 자원을 활용하기도 함
    가문비를 방문하는 휘파람새 5종은 각기 다른 나무부위를 활용함
    공간적 활용이외에도 시간적 활용도 가능
    자원의 분배는 시간적 공간적 분배로 가능
    치열한 경쟁은 진화적 특성을 얻게함
    
    경쟁:자원이용형-직접간섭형
      자원이용형 : 한 종이 특정 자원을 확보하면 다른 종은 가용자원이 감소함
                  - 간접적경쟁 : 수분에 대한 나무들간의 경쟁 등

        직접간섭형 :  한  종이  다른  종이  자원확보하는  것을  직접  제한 -  하이에나와  독수리의  관계 -                          쫓아내기- 직접간섭경쟁
-         세력권을  형성하는  것도  직접간섭형임


♣ 종간상호작용   가. 육식성과 초식성
    에너지원으로 피식자를 1차 생산자로 선택하는 생물은 초식성(herbivorous)생물
    에너지원으로 피식자를 다른 동물로 선택하는 생물은 육식성(carnivorous) 생물
    육식과 초식을 겸한 생물은 잡식성
   (omnivorous) 생물
   여기서 생물은 일반적으로 동물에 해당함

     A.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
        특정 육식성 동물이 한가지 동물만을 먹이로 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피식 동물 선택은 접근성과 조우빈도로 결정
        여우 : 여름에는 들쥐와 흰발들쥐를, 겨울에는 이들의 숫자가 줄면 딸기, 포도, 사과등을 취식
        포식자 증가는 먹이이용율을 감소시키고 이는 포식자 수를 감소시키는 결과로 이어짐
        포식자 감소는 피식자의 증가로… - 순환됨
     B.포식자와 피식자의 적응
        포식자와 피식자간에는 상호진화가 발생하여 놀라운 적응이 일어남
         피식자의 적응 : 탈출적응, 방어적응
         위장(camouflage) - 주위환경에 숨김
           보호색(cryptic coloration)- 계절  따라  변화
         분단성채색(disruptive coloration)- 가짜눈
       -  개체감응(escape response)
        포식동물과 마주선 피식동물이 보이는 급한 행동 - 강할수록 공격행동을 멈춤
        부엉이의 깃털새우기
        너구리의 죽은척하기
        도마뱀의 꼬리자르기 - 자절
        임팔라의 줄행랑
        모기어(mosquito fish) - 메기로부터 탈출 - 물방울튀기기
      - 군집감응(colony, herd…)
        무리를 형성하면 혼자보다 효율적인 감시와 방어가 가능
        접근하는 적을 발견한 개체가 신호(물질)를 발생 - 피식을 유발함
        약한 개체를 둘러싼 강한 개체들로 인해 사냥이 어려움 - 물소 누 코끼리 등
     C. 방어작용
        ½ÅüÀû ¹æ¾î - °ß°íÇÔ, ³¯Ä«·Î¿ò, µÎ²¨¿ò
        Á¶°³, È£Àú, ¼º°Ô, °í·¡ÇǺÎ, Àΰ£ÇǺÎ..
        µ¶¼º¹°Áú, ÀÚ±ØÀûÀÎ ³¿»õ, ¿ªÇÑ ¸À
        °æ°è»ö - À§ÇùÀûÀÎ ¹ÝÀÀÀÇ ½ÅÈ£ - ¹ì, ³ª¹æ
        °æ°è¹æ¾î-¹ÚÁ㸦 ÇÇÇÏ´Â ³ª¹æ·ùÀÇ ¼Ò¸®

         ÀÇÅ -  ´Ù¸¥  Á¸À縦  ´à¾Æ  º¸È£  ¸ñÀû  ´Þ¼º
        ¸À¾ø´Â  °³Ã¼¸¦  ´à°Å³ª(¹Ä·¯½ÄÀÇÅÂ), µ¶¼º ÀÌ  Àִ  °³Ã¼¸¦  ´àÀ½(º£ÀÌÁî½Ä ÀÇÅÂ)
     D. 화학적 방어-1
        동식물이포식자를 저지 또는 죽이는 방법 - 타감물질(allelochemicals)을 방출
        타감물질은 반드시 신속한 반응이 필요
        열대 두꺼비독 - 극소량으로도 살상
        일본의 복어류, 아시아고비어류, 아메리카 도롱뇽 등도 이를 생산
        독성을 가진 개체는 경계색을 지니는 것이 보통임 - 일종의 신호 - 스스로도 피해를 감수할 준비를 함 -             서로 보호하는 작용
      - 화학적 방어-2
        모나크나비(제왕나비)류는 스스로 독성물질을 합성하지 못함 - 박주가리류의 식물을 먹어 독성물질을 저장
         한번 맛을 본 조류는 토해내고 다시는 먹지 않는다 - 경험에 의한 공격의 회피

    나. 기생(parasitism)
        특정 생물이 다른 생물의 몸 안팎에 붙어 자신의 이익을 취하는 상호작용의 경우
        포식의 한가지 유형이지만 대부분 피식자(숙주)는 살아남게 됨
        기생자는 특정 숙주에만 기생하는 특성
        상호진화의 새로운 유형이 되기도 함
        기생자에게도 새로운 제2의 기생자가 발생
        동물은 바이러스부터 절지동물에까지 대량의 기생체가 서식
       << 기생의 예 : 한마리의 도요새에 1000마리 이상의 털이(feather louse)가 발견됨>>
       <<안식처로도 활용되는 경우 : 진주어는해삼의항문에서 발생 및 서식>>
       <<숙주의 행동특성을 활용하는 예 : 뻐꾸기>>
       <<대부분의 체내 기생체는 숙주로부터 떨어지면 살지 못함>>
       <<인간 기생충 : 소화에 견디는 강한 외피, 표면적을 크게하는 길고 편평한 형태, 부착가능한 구조(갈고리),                             자가수정능력보유 등의 특성이 있음
          << 기생의 예:>>
          숙주를 죽게 하는 기생체 : 포식성 기생자
        특정 기생체는 생활환의 완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숙주를 필요로 하기도 함
        말벌은 거미의 몸속에 알을 낳아 성장하게 함 - 유충은 거미를 먹어가며 성장

    다. 타감작용-1
        특정 생물이 다른 생물에게 해가 될 수 있는 화학적 물질을 방출하는 상호작용
       식물이 다른 식물을 죽이거나 초식동물을 죽이는 타감물질을 분비 또는 합성
        작은키떡갈나무(chaparral) - 땅속에 분비된 화합물질은 다른 식물의 발아와 성장을 저해
        자기 스스로를 죽게 하기도 함-자가중독
        자가 중독은 약한 오래된 개체를 제거하는 긍정적인 방법으로 해석되기도 함
        타감작용-2
        십자화과 식물(배추, 겨자, 무 등) - 초식동물과 병원성 진균류 박테리아에게 치명적인 겨자기름을 방출함
        일부종은 타감물질을 중화하는 능력을 가짐
        양배추흰나비는 배추보다 10배 강한 겨자 농도에서 더 잘 자란다 - 위치노출 의 문제가됨
        양치, 활엽수, 개화식물 중 많은 수가 타감물질을 합성 및 분비하는 것으로   밝혀짐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함 - 천연살충제

    ♣ 편리공생-commensalism
        한쪽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쪽은 이익이나 손해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
        상어에 붙어사는 빨판상어
        바다지렁이 굴에 일시 피난하는 생물
        고래의 등에 붙어사는 따개비
-       부력감소
-       저항증가
      
   ♣ 원시협동과 상리공생-1
        가. 원시협동(protocooperation)
           지의류 -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
-           각각은 독립적 삶이 가능하지만 공생

            코뿔소와 찌르레기의 관계
-            서로 독립적이며 생존에 있어 필수적이지도 않음
-            새는 뛰어난 시력을 제공하기도 함
-           코뿔소는 강한 힘으로 포식자 제어

  ♣ 원시협동과 상리공생-2
        나. 상리공생(mutualism)
        서로가 이익을 얻는 상호작용
        원시협동과 달리 상호 생존에 절대적임
        절대(편성)공생(obligate symbiosis)임
        특정 곤충과 새에 의한 수분식물이 해당
        적도의 개미와 아까시아나무
        상리공생의 두 종은 상호진화하여 서로 종속적이 됨
        흰개미와 미생물의 관계
        특정 종의 여왕개미는 머리에 주머니가 있고 그 속에 미생물을 상시 소지함

늦게올려 죄송합니다.
320x100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7일 모임 이야기  (0) 2008.05.08
탄핵송  (0) 2008.05.03
공장형 축산 기업 실태 매트릭스 패러디  (1) 2008.04.30
인식차이  (0) 2008.04.30
무서버..무서버...  (2) 2008.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