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몸가짐에 대한 구용과 구사

320x100
                  

                                      격몽요결의 몸가짐에 대한 구용과 구사





                       九容(구용) 은 사람이 지켜야 할
                            아홉 가지 행동을 말하는 것이다.


                            첫째     足容重(족용중)


                            걸음걸이를 무겁게 하라.
                            이것은 모든 행동을 가볍게 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둘째   手容恭(수용공)


                            손가짐을 공손히 하라.
                            이 말은 남 앞에서 거만해서는 안되고
                            일이 없을 때에는 두 손을 단정히 모으고
                            분수없이 움직여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셋째   目容端(목용단)


                            눈가짐을 단정히 하라.
                            이것은 눈을 똑바로 하고 흘겨보거나
                            간사하게 보지 말아야 함을 뜻한다.




                            넷째   聲容靜(성용정)


                            말소리는 조용히 하라.
                            이 말은 재채기나 가래침 등 쓸데없는
                            소리를 내지 않아야 함을 뜻한다.




                            다섯째 頭容直(두용직)


                            머리가짐은 항상 곧게 하라.
                            이 말은 머리를 항상 꼿꼿하게 하고
                            몸을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비슫듬하게
                            가져서는 안 됨을 뜻한다.




                            여섯째 氣容肅(기용숙)


                            숨쉬기를 정숙하게 하라.
                            이 말은 호홉을 잘 조절해서
                            소리를 내어서는 안 됨을 뜻한다.




                            일곱째 立容德(입용덕)


                            서 있을 때는 덕스럽게 하라.
                            이것은 몸을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비뚤어지게 하지 말고 덕스럽게
                            똑바로 서야 함을 말한다.




                            여덟째 色容壯(색용장)


                            얼굴 모습을 늘 씩씩하고 엄숙하게 하라.




                            아홉째 口容止(구용지)


                            입은 조용히 가져라.
                            이 말은 말을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말고는
                            항상 입을 다물고 있어야 함을 말한다.





                       九思(구사)는 학문을 닦고 지혜를 더하기
                            위한 지표로서 사람이 늘 생각해야 할
                            아홉 가지 일을 말하는 것이다.




                            첫째   視思明(시사명)


                            밝게 보아야 한다는 것으로
                            어떤 일을 보는데 공정하게 욕심 없이
                            보아야 모든 일이 밝게 보임을 말한다.




                            둘째   聽思聰(청사총)


                            남의 말을 듣는 데 총명하여야 한다.
                            이 말은 듣는데 성실하고 가리움이 없으면
                            저절로 밝아짐을 뜻한다.  




                            셋째   色思溫(색사온)


                            안색은 온화하게 할 것.
                            이것은 얼굴에 노여움이나 서러움을
                            내비치지 않고 온화하게 가져야 함을 말한다.




                            넷째   貌思恭(모사공)


                            모습을 공손히 할 것.
                            이것은 몸을 단정히 가지고 남에게
                            뻣뻣하게 보이지 않아야 함을 말한다.




                            다섯째 言思忠(언사충)


                            말할 때는 언제나 충성을 생각할 것.
                            이것은 한 마디 말을 하더라도
                            충성과 신의에 어긋나는 말은
                            하지 말아야 함을 뜻한다.




                            여섯째 事思敬(사사경)


                            일하는 데는 경건을 생각할 것.
                            어떤 일을 하더라도 공경하는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해야 하고
                            함부로 해서는 안 됨을 뜻한다.




                            일곱째 疑思問(의사문)


                            의문이 있을 때는 물을 것.
                            의심나는 일이 있을 때는
                            잘 아는 사람에게 물어서
                            반드시 그 까닭을 알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念思亂(염사란)


                            화가 나는 일이 있어도 참을 것.
                            아무에게나 마구 화를 내는 것은
                            무식하고 어리석은 사람의 행동이다.
                            이성으로 억제하는 힘이 있어야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아홉째 見得思義(견득사의)


                            옳지 못한 것은 가질 생각을 하지 말 것.
                            돈이나 값나가는 물건을 얻게 되었을 때는
                            그것을 가져도 잘못된 것인지 아닌지를
                            생각해 보고 가져야 함을 말한다.





                            모두 사람이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
                            구용과 구사이다.
                            누구나 이 구사와 구용을 마음에 새겨
                            어긋남이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잠시라도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자신의 행동을 반성해야 할 것이다.




                            잘못에 빠져들지 않도록
                            자신의 몸을 지키는 데는
                            네 가지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다.





                            예가 아니거든 보지 말라.
                            예가 아니거든 듣지 말라.
                            예가 아니거든 말하지 말라.
                            예가 아니거든 움직이지 말라.

  
                                 ---이율곡...격몽요결...





320x100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끔은 서로에게  (0) 2007.01.17
꿈을 이루는 여덟가지 법칙  (0) 2007.01.17
이렇게.... 맑고 향기롭게  (0) 2007.01.17
그대 마음은 나의 마음  (0) 2007.01.17
홀로있는 시간  (0) 2006.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