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병인양요와 강화도

320x100
병인양요




● 고종 3년(1866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사건인 병인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침입한 사건.

배경

● 1866년초에 흥선대원군은 천주교 금압령(禁壓令)을 내리고 프랑스신부와 조선인
    천주교신자 수천명을 학살하였는데 이를 병인박해 또는 병인사옥이라 한다.

● 프랑스 선교사는 12명 중 9명이 잡혀 처형되었으며, 3명은 화를 면하였는데, 그 중
   리델(Ridel) 신부는 중국으로 탈출하여 주중 프랑스 함대 사령관 로즈[Roze, P.G.
   로세(魯勢)]에게 박해소식을 전하면서 보복원정을 촉구했다. 이에 로즈가 대함대를
   이끌고 침입하였다.

● 프랑스 공사 벨로네[Bellonett, H.D., 백락내(伯洛內)]는 "조선은 사전에 청국의 승인
    을 받고 병인박해를 단행하였으므로 청국은 병인사옥의 공범자"라고 청국정부를
    규탄하면서, 조선에 대한 선전포고를 하고 로즈제독에게 조선에 응징원정을 결행할
    것을 명하였다.

● 그러나 청국은 조선은 중국의 조공국(朝貢國)이지만 정치적으로 독립국가이며,
    공범은 사실 무근이라고 하면서 거병(擧兵)을 강력히 항의하였다.

● 이에 프랑스는 조선과 수교관계가 없다는 점과 조선은 정치적 독립국가라는 점 등을
    들어 프랑스정부의 직접 개입 없이 현지사령관인 로즈의 주재하에 군사적 응징원정
    을 단행하기로 결정하였다.

1차 원정

● 로즈의 제1차 원정은 강화해협을 중심으로 한양까지의 수로를 탐사하기 위한 예비적
    탐사원정이었다.

● 로즈는 군함 3척을 이끌고 9월 18일부터 10월1일까지 한양의 양화진(楊花津),
   서강(西江)까지 올라와서 세밀한 지세정찰과 수로탐사를 한 끝에 지도 3장을 만들어
   돌아갔다.

2차 원정

● 로즈는 10월 5일에 한강 봉쇄를 선언하고, 10월 11일에 제2차 조선원정길에 올랐다.
   군함 7척, 함재대포 10문, 총병력 1,000명 향도 및 수로 안내인으로 리델신부와 조선인
   천주교도 최선일(崔善一), 최인서(崔仁瑞), 심순여(沈順汝) 등 3명을 대동하고 강화도
   로 내침하였다.

● 10월 16일에 강화부를 점령하고, "우리는 자비로운 황제의 명령을 받들고, 우리 동포
    형제를 학살한 자를 처벌하러 조선에 왔다." 라는 내용의 포고문을 발표하였다.
    또, "조선이 선교사 9명을 학살하였으니, 조선인 9,000명을 죽이겠다."는 강경한 응징
    보복을 밝혔다.

● 강화도 수비에 실패하여 사태가 위급하게 되자, 정부는 순무영(巡撫營)을 설치, 대장
   에 이경하, 중군에 이용희, 천총에 양헌수를 임명하고, 출정하게 하였다.

● 양헌수는 제주목사로 있다가 천총(千總)에 임명되어, 대군을 이끌고 통진부(通津府)
    에 진을 치고, 강화도 수복계획을 구상하였다.

● 강화도를 점령한 프랑스군은 10월 26일에 문수산성 전투에서 조선군을 압도하였다.
   프랑스군이 가진 총포의 화력을 당해낼 수 없어 강화도의 관리, 군인, 백성이 모두
   피난갔으므로 강화도는 프랑스군의 독무대가 되었다.

정족산성 전투

● 이 때, 양헌수는 화력면에서 절대열세인 조선군이 프랑스군을 제압하는데는 기병작
   전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어융방략(禦戎方略)으로써 강화도를 수복할
   계획을 세웠다.

● 양헌수의 군대 549명이 덕포에서 프랑스군에 들키지 않고 한밤중에 잠도작전(潛渡作
    戰)으로 강화해협을 건너 11월 7일 정족산성을 점거하고 농성하였다. 양헌수는 정족진
    을 결성한 뒤, 남문에는 초관(哨官) 김기명(金沂明) 지휘하에 포수 161명, 동문에는
    초관(哨官) 이렴(李濂) 지휘하에 포수 150명, 서문과 북문에는 초관(哨官) 이대흥
    (李大興) 지휘하에 경군(京軍) 및 향군(鄕軍) 157명을 배치, 매복하게 하고 프랑스
    군의 내습을 기다렸다.

● 조선군이 강화해협을 건너 정족산성에서 농성을 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로즈는
    올리비에(Ollivier) 대령에게 정족산성 공격을 명하였다.

● 11월 9일 올리비에는 160명의 분견대를 이끌고, 야포없이 경무장한 채 정족산성 공략
    에 나섰다. 조선군이 동문과 남문으로 쳐들어오는 프랑스군에게 일제히 포격을 가함
    으로써 일대 격전이 벌어졌다.

● 정족산성에서의 접전결과 프랑스군은 전사자 6명을 포함하여 60여명의 사상자를
    내었으나, 조선군의 피해는 전사자 1명 부상자 4명 뿐이었다.



정족산성 승리의 의미

● 첫째, 화력면에서 열세인 조선군이 연전 연패를 하다가, 양헌수의 뛰어난 전략에 의하
    여 근대식 병기로 장비한 프랑스군을 격퇴하였다.

● 둘째, 정족산성의 패전을 계기로 로즈함대는 원정을 포기하고 강화도를 철수하였다.

● 프랑스군은 10월 14일 상륙이래 거의 한달 동안 강화도를 점거하였으나, 정신적, 육체
    적으로 피로하여, 야포를 동원하여 정족산성을 재 공략할 수 있었으나, 이를 포기하
    고 11월 10일 함대를 철수하였다.

● 이 싸움은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구 제국주의 침략세력을 격퇴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문화재 약탈

● 프랑스군은 강화도를 철수할 때, 외규장각 도서 345권과 은괴 19상자등의 문화재를 약탈해갔다.

● 프랑스는 이때 약탈한 외규장각 도서를 대여 형식으로 돌려주기로 약속하였으나, 현재까지 돌려주지 않고 있다.

프랑스의 원정 실패

● 로즈의 조선 원정은 11월 21일 제2차원정이 끝날 때까지 무려 2개월에 걸친 장기 원정이었다.

● 원정을 끝내고 청국으로 돌아간 로즈는 선교사 학살에 대한 응징적 보복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공사 벨로네를 비롯한 북경의 모든 외교관들은 그의 원정을 실패로 간주하였다.

그 이유는,

● 첫째, 외교적 견지에서 보면, 수교관계가 없는 조선으로 가서 조선개항을 위해 입약협상(立約協商) 조차 벌이지 못한 채 돌아왔다는 것,

● 둘째, 군사적 견지에서 보면, 정족산성에서의 패전 직후 곧 함대를 철수하였다는 것,

● 셋째, 종교적 견지에서 보면, 조선원정의 지상목표가 선교사 학살에 대한 응징보복인데, 보복은 커녕 오히려 흥선대원군의 천주교박해와 쇄국정책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것이다.

● 그런데 프랑스 정부는 공식적으로 이 원정을 성공이라고 간주하였다.

● 그 근거로는 1867년 3월에 미국정부가, 미국은 제너럴셔먼호사건 프랑스는 병인사옥으로 인하여 피해를 보았으니 대조선미불공동원정을 제의하였을 때, 프랑스 정부는 이미 조선원정을 통해 응징보복하였기 때문에 새삼스러이 공동원정은 할 필요가 없다고 거절한 것이 있다.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와 신미양요  (0) 2007.02.12
강화 지명의 유래  (0) 2007.02.12
마리산 참성단  (0) 2007.02.12
세계 10대 발명품2 - 인공위성  (0) 2007.02.08
세계10대 발명품 1- 나침반  (0) 2007.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