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애기나리(백합과)
'백합"이라는 식물은 야생에서 살지 못하고 화원에나 가야 있다.
토종백합은 "참나리"라고 한다
거미 더듬이로 암수 구분하는 법: 권투그러브 낀 것처럼 생긴 모양-수컷
짧으면-암컷
애벌레 만질때 주의 점: 털 있는 것 만지지 않는다.
비교적 덜 따뜻한 손등으로 만지는 것이 좋다. 애벌레는 변온동물이라 손바닥으로 만지면 애벌레가
뜨거워 할지 모름
아그배나무:타원형이며 결각이 불규칙하게 있으며 잎의 변이가 있다.
꽃사과:야생에서 볼 수 없고 조경용으로 식재한 거다
생식기(꽃)가 없을때 구분하는 포인트-겹잎, 홑잎-->마주나기,어긋나기
산초나무,아카시나무--겹잎 참나무,개암나무---홑잎
작살나무--마주나기 벚나무---어긋나기
진달래과의 특징:암술대가 오래도록 남아있다
식물의 잎장에서 번식의 전략으로 멀리 보내려는 성향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가까이 있으면 엄마 나무의 그늘에 가려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에 ..
새를 유인해서 번식시키거나 바람에 날아가게 함으로서 멀리까지 이동하게 한다.
새가 좋아하는 씨앗에는 시아닌아라는 성분이 있어서 설사를 하게 해서 씨앗의 생명력을 유지하면서 멀리 씨앗을 퍼뜨리게 한다. 도꼬마리.도깨비바늘은 동물의 털에 붙어서 씨앗을 이동시킴
봉선화-용수철기능 열매에 당분이 있어서 곤충을 유인하는 전략도 있다-애기똥풀, 깽깽이풀, 현호색
허브의 정의;먹을 수 있으면서 약재로 쓴다.
토종허브-산초나무 초피나무 쑥 마늘 국화종류 부추 깻잎 파
산초나무-거치 사이에 선점이라는 것이 있는데 방향성분을 분비하는 기름이 나온다. 가시가 어긋나기
초피나무-경상도 전라도에서는 산초나무라고도 하고 제피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잎이 너울너울,,, 가시가 마주나기.....초피나무의 열매껍질을 추어탕에 넣어 먹는다.
풍매화-양으로 승부,
참나무; 잎겨드랑이 사이에 암꽃이 피고 수정이 되면 열매가 자란다.
개암나무-어린잎에 난 붉은 얼룩은 안토시아닌이라는 색소인데 곤충들로부터 자신을 지키기위한 방어전략으로 보인다.
잎자루에 직각으로 난 빨대 같은 털(샘털)이 있다.그 빨대에서 붐비물을 내뿜는다.
덜꿩나무, 가막살나무, 밤나무:꽃에서 같은 향이 난다.-곤충들이 좋아하는 향
떨꿩나무-잎이 빌로드 느낌, 들꿩-->덜꿩나무로 변하지 않았을까?
봉오리는 향이 없다. 폈을때 향이 나지만 향이 안난다면 수정이 다 끝난 것이다
제비꽃 중에서 가장 작은 꽃을 피우는 콩제비꽃
뽀리뱅이-보릿대처럼 길게 줄기가 올라온다
<여러해살이 풀들이 살아가기 위한 전략>
꽃을 일찍 피운다
이유-주위에 나무들의 잎이 자라기 전에 일찍 꽃을 피운다. 이때 잎의 크기나 키는 키울 필요가 없다
그러나 여름에는 주위 풀이나 나뭇잎들이 자라서 해를 가리므로 잎을 키울수밖에 없다.
그래서 봄의 잎과 여름 잎이 크기가 달라지는 것이다.(개별꽃, 양지꽃 등등)
가시 있는 건 다 먹을 수 있다
.
박완선의 책에 나오는 싱아는 시큼한 식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 신맛에는 채기를 내리게 하는 성분인 옥살산(매실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이 있다.
괭이밥, 까치수영, 수영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배꼽
사갓사초(사초과)
벼과-속이 비어있다. 벼랑 닮았다
사초과-속이 차있다. 삼각기둥이다
둘 다 풍매화다
고비-거치가 매끈하고 색이 진하다
구름산에 있는 것은 대부분 고사리과
밤나무순혹벌-밤나무의 생장점에 산란관을 꽂아서 서식. 성충의 크기는 0.5mm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일단 충영이 생기면 그 윗부분은 잎이 부실해져서 열매도 잘 자라지 않는다
잎의 변이가 많은 식물-아그배나무. 생강나무,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선밀나물
암수 딴그루-암꽃; 암술머리만 두 개 수꽃; 수술만 가지고 있다
중부지방에서는 잎이 떨어지지만 남부지방에선 겨울에도 반상록상태이다
망개떡-찹쌀떡을 청미래덩굴에 싸서 찐다. 청미래덩굴 잎에는 방부성분이 있어서 떡이 빨리 상하지 않는다
팥배나무-꽃은 배꽃같고 팥만한 열매가 열린다
큰애기나리-분지한다(가지가 갈라진다)
애기나리-분지하지 않는다
은방울꽃 유독식물, 꽃 향기가 좋아서 향수로 이용
320x100
'자료실 > 들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나무 (0) | 2015.05.08 |
---|---|
7월15일 신입회원과 함께하는 모니터링 (1) | 2013.07.17 |
향유, 꽃향유, 배초향 (2) | 2011.10.10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텃새 (1) | 2011.03.08 |
12월 들살이 철새 자료집 (0) | 201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