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홍도·흑산도는 철새들의 '천국'
환경부가 전국 자연환경조사 대상 종으로 선정한 국내 조류 452종 가운데 74.6%에 달하는 337종의 철새들이 홍도와 흑산도를 지나가는 것으로 관찰됐다.
17일 국립공원관리공단 소속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의 '2007 조류 조사·연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홍도, 흑산도 등 신안군 일대를 통과하는 조류는 모두 337종으로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전남 신안군이 철새의 주요 이동 경로로 확인됐다.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의 관찰결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식물Ⅰ급에 해당하는 매,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흰꼬리수리를 포함한 멸종위기종 19종과 천연기념물 13종 등 다수의 멸종위기 및 법정보호 조류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일대에 서식 또는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또한 검은해오라기, 물꿩, 연노랑솔새, 한국밭종다리, 풀밭종다리, 붉은머리멧새, 푸른바다직박구리(사진), 중국지빠귀 등 국내 희귀 철새를 비롯한 20종이 홍도, 흑산도 일대를 통과한다는 사실이 새로 확인했다. 특히 푸른바다직박구리, 붉은머리멧새와 중국지빠귀는 국내 3번째, 한국밭종다리는 국내 7번째 기록 등에 해당하는 희귀 조류로 조류학계에 관심을 끌고 있다.
철새연구센터 채희영 박사는 "섬휘파람새 등에 대한 음성 분석과 국내 분포 현황 파악, 꺅도요류와 때까치류의 국내 도래 현황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의 조류 분류 체계 구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등 국내외 박물관 및 전문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철새연구센터가 조류에 의한 질병 전파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2007년 동박새, 유리딱새 등 22종 121마리, 2005년 이후 총 79종 1276마리를 대상으로 조류인플루엔자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판명됐다. 오히려 식물의 열매를 먹은 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종자를 배설함으로써 훼손된 해안 난대림의 자연 복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한 참매.
한편 철새연구센터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총 133종 3717마리의 철새에 금속 가락지를 부착하고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에 해당하는 참매에게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 추적하는 등 철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환경부가 전국 자연환경조사 대상 종으로 선정한 국내 조류 452종 가운데 74.6%에 달하는 337종의 철새들이 홍도와 흑산도를 지나가는 것으로 관찰됐다.
17일 국립공원관리공단 소속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의 '2007 조류 조사·연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홍도, 흑산도 등 신안군 일대를 통과하는 조류는 모두 337종으로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전남 신안군이 철새의 주요 이동 경로로 확인됐다.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의 관찰결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식물Ⅰ급에 해당하는 매,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흰꼬리수리를 포함한 멸종위기종 19종과 천연기념물 13종 등 다수의 멸종위기 및 법정보호 조류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일대에 서식 또는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검은해오라기, 물꿩, 연노랑솔새, 한국밭종다리, 풀밭종다리, 붉은머리멧새, 푸른바다직박구리(사진), 중국지빠귀 등 국내 희귀 철새를 비롯한 20종이 홍도, 흑산도 일대를 통과한다는 사실이 새로 확인했다. 특히 푸른바다직박구리, 붉은머리멧새와 중국지빠귀는 국내 3번째, 한국밭종다리는 국내 7번째 기록 등에 해당하는 희귀 조류로 조류학계에 관심을 끌고 있다.
철새연구센터 채희영 박사는 "섬휘파람새 등에 대한 음성 분석과 국내 분포 현황 파악, 꺅도요류와 때까치류의 국내 도래 현황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의 조류 분류 체계 구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등 국내외 박물관 및 전문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철새연구센터가 조류에 의한 질병 전파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2007년 동박새, 유리딱새 등 22종 121마리, 2005년 이후 총 79종 1276마리를 대상으로 조류인플루엔자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판명됐다. 오히려 식물의 열매를 먹은 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종자를 배설함으로써 훼손된 해안 난대림의 자연 복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한 참매.
한편 철새연구센터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총 133종 3717마리의 철새에 금속 가락지를 부착하고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에 해당하는 참매에게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 추적하는 등 철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 안에 쌓인 독성물질, 마늘·녹차로 해독 (0) | 2008.03.25 |
---|---|
지구온난화 - 식목일 앞당길까 말까 (0) | 2008.03.25 |
우리 식물 씨앗, 우주로 간다 (0) | 2008.02.18 |
2007 역사학교 (0) | 2007.12.21 |
죽염의 활용 (0) | 2007.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