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해설가 중급 제26강-식물의 이해
일시: 2009.10.27
장소: 도덕산
주제: 식물의 이해
강사: 김성환 박사
봄과 초여름에 식물강의 5번을 연달아 한 후에 이 가을에 오랜만에 식물현장수업을 나갔다.
여름내내 곤충, 거미강의로 외도를 길게 한터라 오랜만의 식물수업이 기대가 되었다.
강사가 중급반이고 식물수업을 5번이나 했으니 오늘은 나무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보다 숲 전체의 주요 나무와 그 식생을 파악해보자고 했다. 너무 나가면 안되는데..
1. 인가주변과 산속의 식생은 다르다. 무인도 생태조사를 해보면 확연하게 드러난다.
아까시나무가 있으면 인가가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사람이 떠나고 오래되면 아까시는 점점 사라진다.
2. 우리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나무종류만 잘 구별하고 있어도 왠만한 설명을 할 수가 있다. 대표적으로 참나무류와 침엽수류.
◎참나무 7가지 구별하기(신갈,떡갈,졸참,갈참,굴참,상수리 그리고 밤나무)
-상수리.굴참.밤나무-인사주변, 산기슭에, 상수리와 밤나무는 잎에 광택이나나 굴참은 잎뒷면에 털이 있고 광택이 없다.
-상수리.밤나무 구별법- 밤나무는 수피가 세로로 줄이 나는데 상수리는 그물을 씌워 놓은 것 같다. 벌레집이 많으면 밤나무고 나무 아래에 떨어져 있는 열매로 짐작한다.
-신갈.떡갈-잎끝이 귓불모양으로 갈라져있다.
신갈은 줄기가 아래쪽에서부터 갈라지고 산능선에서 자라나 떡갈은 산아래에 산다. -갈참.졸참-갈참은 잎 가장자리가 매끈한 편이나 졸참은 가장자리가 뾰족하다.
자연성을 유지해서 산중턱에 산다.
◎침엽수 구별하기
-소나무류-잎을 떼내어봤을 때 묶음이면 소나무류(2장-소나무, 3장-리기다, 5장-잣나무)
-소나무.잣나무-소나무는 녹색이나, 잣나무는 녹색에 전체적으로 흰빛이 돌고(잎뒷면에 흰줄의 숨길이 있기때문) 수피가 기와장 거꾸로 달아놓은듯이 벗겨져 있는데
tm트로브잣나무는 수피가 매끈하다.
-구상나무.전나무-구상나무는 잎뒷면이 하얗데 비해 전나무는 잎이 납작하고 녹생이다.
가문비나무-전나무와 비슷하고 구상나무와 가문비나무는 고산지대에 살아서 숲해설 때 만나기는 어려운 나무들.
-주목-줄기가 붉은색이고 잎 앞뒤가 다 녹색이다.
3. 미루나무 - 2~3명의 팔을 벌려야 닿을수 있을만큼의 큰 나무. 빨리 자라서 몇 년만에 이렇게 자랄수도 있다. 잎이 삼각형이고 잎병이 아주 길다.
4. 물오리나무-물오리나무라고 물가에 있지 않고 오히려 산에 있어 산오리나무 라고해야하 나 나무이름에 ‘산’자를 붙이면 높은산에 사는나무가 되므로 함부로 ‘산’자를 붙일 수 없다.
5. 복자기나무 단풍나무-단풍나무는 단엽으로 수피가 미끈하나 복자기나무는 삼출복엽이면 서 대생이다.
6. 겨울에 수피로 나무 구분하기-붉은점이 있으면 느티나무, 입술모양이면 벚나무,복숭아나 무, 사람눈모양이면 물오리 나무다.
7. 보리수-잎뒷면이 희고 광택이 나고 줄기에 가시가 있다.
8. 심우나무- 느티나무와 느릅나무의 중간으로 가시가 있다.
9. 겨울에 잎이 다 떨어졌을 때-줄기에 눈이 있으면 목본, 눈이 없으면 초본.
10. 산초.초피-둘다 가시가 있으나 산초는 가시가 하나고 초피는 가시 2개가 마주나있다.
11. 자귀나무-엽흔이 나사모양으로 감아 올라간다.
12. 산딸기-줄기가 앞은 붉은색이고 뒷면은 녹색이다.
멍석딸기-삼출엽으로 잎뒷면이 흰색.
오늘 산 전체의 수종을 봤을 때 참나무(신갈나무 군락, 떡갈나무 무리 등)가 주종을 이루고
그 외 교목으로는 소나무, 잣나무, 은사시나무, 때죽나무, 물오리나무, 보리수, 나무아래에 심우나무, 초피등 키작은 나무, 길섶에 산딸기, 자귀나무등 정도이다.
숲이 안정될수록 수종이 적어지고 숲이 형성될 시기에는 오히려 수종이 많아지는데 오늘 둘러본 도덕산은 수종이 안정되고 오래된 숲이라 할 수 있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해설가 초급 강의 -심상옥(햇살자연학교) (1) | 2009.11.03 |
---|---|
은행나무 이야기 (0) | 2009.11.03 |
온신초 씨앗이야기 큐시트 (0) | 2009.10.27 |
온신초 참나무류 큐시트 (0) | 2009.10.06 |
헷갈리는 참나무가족들 (0) | 2009.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