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곤충 개략
봄곤충이 애벌레나 유충의 모습이라면 가을 곤충은 성충의 모습이다.
왜 곤충이라고 할까?
아무리 예쁘고 귀여워도 우리와 함께 살기에는 곤란한 벌레이기 때문이다.
아침에 일어나 곤충소리가 잘 들리면 그날은 아주 맑고 화창한 날이고,
특히 곤충과 새와 같이 움직이는 동물을 잘 살펴보면 1년 뒤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다.
그래서 옛날 농가에는 달력이 없었다.
생태 달력이 봄맞이 꽃이 피면 봄, 반하(半夏)가 피면 여름, 감익고 감국이 피면 가을,
구절초가 피면 음력 9월 9일... 임을 알려주었다.
또 그 집에 사는 곤충을 잘 살펴보면 집상태를 알 수 있다.
곱등이가 많으면 습한 집이고 지네까지 있다면 아주 습하고 냉한 집이다.
곤충은 삼각형의 형태로 6개의 발을 움직인다.
제일 앞발이 오른쪽이면 둘째는 왼쪽, 셋째는 오른쪽...
더듬이가 긴 것은 밤에 주로 활동하는 것
2. 곤충 명칭
메뚜기 - 들, 산에서 잘 뛰어서
콩중이 팥중이 - 콩밭, 팥밭에 살아서
벌 - 가만히 있지 않고 계속 움직이면서 무엇인가를 벌어들여서
잠자리 - 먹는 시간 외에는 대부분 잠꾸러기
나비 - 나빛 - 빛이 비출 때 나와서
나방 - 밤에 나와서
베짱이 - 배가 짱이야!
곤충이야기
3. 메뚜기 : 암컷이 더 크다.
잠자리 여치 귀뚜라미 베짱이 등등 자손을 많이 나아야만 하는 것은 암컷이 더 크다.
풀무치는 다리가 강해서 쎄다. 하지만 위협을 느끼면 다리를 떨어뜨린다.
밑드리 메뚜기: 날개가 없고 산에 산다.
메뚜기가 범람하면 천적인 메뚜기 벌새가 자연적으로 알 낳는 횟수를 한번 더 늘리고,
그 갯수도 많게 하여 메뚜기를 잡아먹는다.
4. 잠자리 : 수컷 생식기는 가슴과 배 사이에,
짝짓기할 때 하트 모양이 이루어지는 까닭이 그것 때문.
헬리콥터, 천체망원경은 바로 잠자리를 본딴 것
5. 나비 : 나비는 날개를 앉을 때는 접지만 나방은 펼친다.
네발나비의 한쌍의 다리는 쓰지 않아 없어진 것이다.
6. 노린재: 식물의 즙을 빨아먹고, 냄새는 끝내준다.
과일 껍질을 밖에 두면 노린재가 즙을 빨아먹으려 날아온다.
7. 벌: 한번 쏘이면 그 해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
벌이 사람을 쏠 때는 사람의 약한 혈을 공격하고,
사람은 독(아드레날린)을 내뿜게 되는데, 너무 심하게 뿜어내 심장에 충격을 주면 죽게도 된다.
즉 벌에 쏘여 죽기보다는 스스로의 독에 의해 죽게 되는 것이다.
호박벌 뒤엉벌은 침을 쏘고나도 빠지지 않아 벌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
8. 무당벌레 : 무당옷 색과 비슷해서 무당벌레다. 칠성무당벌레는 이롭지만
28점박이 무당벌레는 해충중의 해충!
봄곤충이 애벌레나 유충의 모습이라면 가을 곤충은 성충의 모습이다.
왜 곤충이라고 할까?
아무리 예쁘고 귀여워도 우리와 함께 살기에는 곤란한 벌레이기 때문이다.
아침에 일어나 곤충소리가 잘 들리면 그날은 아주 맑고 화창한 날이고,
특히 곤충과 새와 같이 움직이는 동물을 잘 살펴보면 1년 뒤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다.
그래서 옛날 농가에는 달력이 없었다.
생태 달력이 봄맞이 꽃이 피면 봄, 반하(半夏)가 피면 여름, 감익고 감국이 피면 가을,
구절초가 피면 음력 9월 9일... 임을 알려주었다.
또 그 집에 사는 곤충을 잘 살펴보면 집상태를 알 수 있다.
곱등이가 많으면 습한 집이고 지네까지 있다면 아주 습하고 냉한 집이다.
곤충은 삼각형의 형태로 6개의 발을 움직인다.
제일 앞발이 오른쪽이면 둘째는 왼쪽, 셋째는 오른쪽...
더듬이가 긴 것은 밤에 주로 활동하는 것
2. 곤충 명칭
메뚜기 - 들, 산에서 잘 뛰어서
콩중이 팥중이 - 콩밭, 팥밭에 살아서
벌 - 가만히 있지 않고 계속 움직이면서 무엇인가를 벌어들여서
잠자리 - 먹는 시간 외에는 대부분 잠꾸러기
나비 - 나빛 - 빛이 비출 때 나와서
나방 - 밤에 나와서
베짱이 - 배가 짱이야!
곤충이야기
3. 메뚜기 : 암컷이 더 크다.
잠자리 여치 귀뚜라미 베짱이 등등 자손을 많이 나아야만 하는 것은 암컷이 더 크다.
풀무치는 다리가 강해서 쎄다. 하지만 위협을 느끼면 다리를 떨어뜨린다.
밑드리 메뚜기: 날개가 없고 산에 산다.
메뚜기가 범람하면 천적인 메뚜기 벌새가 자연적으로 알 낳는 횟수를 한번 더 늘리고,
그 갯수도 많게 하여 메뚜기를 잡아먹는다.
4. 잠자리 : 수컷 생식기는 가슴과 배 사이에,
짝짓기할 때 하트 모양이 이루어지는 까닭이 그것 때문.
헬리콥터, 천체망원경은 바로 잠자리를 본딴 것
5. 나비 : 나비는 날개를 앉을 때는 접지만 나방은 펼친다.
네발나비의 한쌍의 다리는 쓰지 않아 없어진 것이다.
6. 노린재: 식물의 즙을 빨아먹고, 냄새는 끝내준다.
과일 껍질을 밖에 두면 노린재가 즙을 빨아먹으려 날아온다.
7. 벌: 한번 쏘이면 그 해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
벌이 사람을 쏠 때는 사람의 약한 혈을 공격하고,
사람은 독(아드레날린)을 내뿜게 되는데, 너무 심하게 뿜어내 심장에 충격을 주면 죽게도 된다.
즉 벌에 쏘여 죽기보다는 스스로의 독에 의해 죽게 되는 것이다.
호박벌 뒤엉벌은 침을 쏘고나도 빠지지 않아 벌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
8. 무당벌레 : 무당옷 색과 비슷해서 무당벌레다. 칠성무당벌레는 이롭지만
28점박이 무당벌레는 해충중의 해충!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숙제랍니다. (0) | 2005.11.08 |
---|---|
기생충보단 아토피... (0) | 2005.11.07 |
강알칼리성 식품 "배" (0) | 2005.10.31 |
사과의 끈적 끈적한 느낌의 물질은???? (0) | 2005.10.31 |
딱딱한 껍질 속의 고소한 영양 덩어리 "밤" (0) | 200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