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겨울을 나는 곤충들

320x100

겨울의 한 날
운길산에서 성기수 샘과 함께 곤충들의 겨울나기에 대해 ...
게으른 탓에 조금 지각은 해서 ....   (죄송했음)




노랑쐐기나방 애벌레의 집
찔레, 장미과, 호두나무, 잣나무 등에 서식한다
5월에 부화하며 쐐기나방, 독나방등은 만지면 안된다 - 아프니까
애벌레는 나뭇가지에 탁 꽂아놓고 고치 만든다
잎이 떨어지기전에 집을 만들며 이틀정도 걸린다
나무에 붙어있는 이유 - 비, 바람 불어도 튼튼한 집
애벌레는 먹지 않으며 그 녀석들의 삶의 이유는 단 하나- 짝짓기
5월쯤에 나방으로 변해 짝짓기 끝내면 바로 죽는다

칡 줄기에 홈을 파고 알을 낲는 배자바구미, 알 낳는 자리에 혹이  생긴다



풍개나무잎의 애벌레 
풍개나무나 팽나무에는 6종류의 애벌레가 산다
유리창에벌레(번데기로 월동), 왕오색나비애벌레, 큰호랑나비 애벌레, 뿔나비애벌레, 흑백알락나비애벌레, 홍점알락나비애벌레
오늘 본 것은 홍점알락나비애벌레와 흑백알락나비애벌레
애벌레 등의 4쌍의 무늬
왕오색나비는 4쌍이 뚜렷하고  2번째 한쌍이 안 보이는 것이 흑백알락나비애벌레
풍개나무 밑의 낙엽을 살살 뒤지면 볼 수 있다
낙엽에 그냥 걸쳐 있는 것이 아니고
바닥을 실로 지그재그로 엮어서 그 위에 안 떨어지게 앉아있다
3월말~4월초 날이 조금 따뜻해지면 나무위로 올라가 흔히 볼 수 있다
애벌레로 월동한다

 




앉은뱅이다
우리나라의 전갈이라 할까!
몸은 아주 작고 집게 다리가 있다
나뭇잎, 돌 밑에서 겨울을 난다

참나무혹벌의 충영
충영이란 벌레나 균류에 의해 침입을 받은 생물이 자체 면역 기능으로 생긴 혹같은 물질



개망초의 줄기 속에 터널을 만들어 겨울을 나는 애벌레도 있다
아주 잘도 잘라놨네
굴나방애벌레의 탈피 흔적
가죽나무고치나방의 고치(애벌레의 탈피 흔적만 남은 빈 집)


겨울의 흔들리는 나뭇가지들을 보면 잎을 돌돌말고 실을 뽑아 매달려 있는 것들이 있는데 그것들도
겨울나기의 한 방법이다
실을 뽑아 매어놓은 형태인 개암나무 주변의 참세줄나비 나
황벽나무의 잎에 알을 낳아
대롱대롱 매달려 놓는 대왕팔랑나비도  등도 있다.

정리하기 힘들다~~~~
320x100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꺼비가 나왔어요  (2) 2011.03.12
  (0) 2011.03.09
2011 양서류 산란조사  (0) 2011.03.09
김상곤 경기도교육감 과 학부모 간담회 (필히 참석)|  (0) 2011.02.08
광명이 들썩입니다.  (0) 201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