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 얼과 미, 한복에서 찾다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한복의 유래 고구려 무덤 벽화로 본 삼국시대 한복은 고구려, 백제, 신라가 공존하던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한복의 흔적을 발견한 것은 고구려 시대의 왕과 귀족의 무덤속 벽화에서였다. 벽화에는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이 모두 저고리에 해당하는 긴 상의와 바지나 치마를 입고 있으며, 그 위에 예의나 격식을 갖추기 위해 두루마기형 포를 덧입은 모습을 찾아볼수 있는데, 이 시기의 기본적인 복식의 유형인 것으로 추정된다. 상의와 하의는 다른색을 사용해 장식 표면이 분할 된 듯 보인다. 특히 상의의 깃, 앞단, 밑단 등 의복의 가장자리에 의복보다 짙은 색의 넓은 선 장식을 대준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선 장식은 착용자의 상의에 시선을 집중시키고, 돋보이게 하기 위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전체.. 더보기 식물의 잎 구조와 기능-교과공부3 두꺼비산들학교 교과공부 주제3. 식물의 잎 구조와 기능 첨부파일로 올립니당 더보기 야생화 쉽게찾기 노하우 4가지 야생화를 알아도 봄은 오고 야생화를 알지 못해도 봄은 온다. 그런데 야생화를 알면 봄이 좀더 일찍 찾아온다. 방 안에서 봄이 오기만을 기다리는 분이라면 3월 중순은 되어야 하겠지만 야생화의 달인들은 눈이 채 녹지 않은 2월부터 카메라를 손에 쥔다. 지금쯤 어디에 가면 무엇이 있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야생화를 쉽게 찾을 수 있을까? 지금부터 그 노하우를 조금 나누어 드릴까 한다. 첫째, 계곡부터 살펴라! 모든 생명의 근원은 물이다. 물이 있어야 생명활동이 가능하다. 눈 녹은 물이 끊임없이 생명력을 제공하는 계곡의 습윤 지역에서는 너도바람꽃, 복수초, 현호색, 노루귀, 앉은부채, 처녀치마 등이 제 자신이 봄인 양 꽃을 피운다. 편하게 등산로를 따라가는 사람들의 눈에는 등산로만 보.. 더보기 이전 1 ··· 515 516 517 518 519 520 521 ··· 37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