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20130502 수서곤충 장소 : 용인 수지 광교산 신봉동 계곡 일시 : 2013년 5월2일 오전10시~12시 강도래류- 돌 빛깔과 비슥하게 생긴 물 속의 포식자/ 강도래는 용존 산소량이 풍부한 지역에 서식한다. 강도래와 하루살이는 불완전변태 곤충이라 애벌레 때와 성충의 모습이 비슷하다. 강도래는 꼬리가 두개이다. 하루살이는 세개 인것도 있고 두개인것도 있다. 1. 무늬 강도래 2. 강도래붙이(주로 경기 남부 쪽에서 발견. 북쪽은 진강도래가 많다) 3.녹색강도래류 성충 4. 꼬마강도래 성충 5. 뿔하루살이 -앞다리 위에 뿔이 있다 6. 무늬하루살이 7.납작하루살이과 네점하루살이 8.납작하루살이과 햇살하루살이 - 검은색 날개싹이 보인다. 곧 우화할 예정이라는~ 9. 띠무늬 우묵날도래(우묵날도래과)- 돌과 나뭇가지를 섞어서 집을 만.. 더보기
푸른어린이집(130417)조약돌 더보기
20130404 곤충3 소금쟁이 북쪽비단노린재 배 북쪽비단노린재 - 할아버지 얼굴을 닮았대요 어리여치약충- 아주 작아요. 글씨 크기랑 비교해보세요. 글씨는 약 12포인트 정도 크기? 보날개풀잠자리- 아주아주 작아요. 위에 있는 어리여치 약충보다도 작아요 가는무늬하루살이 유충 - 동양하루살이도 가는무늬 하루살이 종류 양봉꿀벌 - 꿀벌의 정식 명칭은 양봉꿀벌과 재래꿀벌 두 가지가 있답니다. 그냥 꿀벌이라는 종은 없어요. 현재 재래꿀벌은 바이러스 때문에 95%가 사라져버렸습니다. 노래기 - 건드리면 동그랗게 몸을 만다. 돌지네 됫박털기생파리- 비닐 안에 넣어 놨더니 날개가 젖었니봐요. 날아가지 못하고 앉아있네요.. 잘 말리고 날아가라고 양지바른 풀숲에 놓아주고 왔어요. 미안허다~ 됫박털기생파리 얼굴 멧팔랑나비 - 봄에 날아다니는 대.. 더보기
20130404 곤충2 뿔나비 - 네발나비과 네발나비 네발나비 안쪽 날개에 c자 보이시죠? 네발나비임을 증명하는 표식. 표범나비와 구별하는 포인트! 겨울자나방 쇳빛부전나비 포충나방류 애호랑나비- 이 나비가있다는 것은 족두리풀이 근처에 있다는 뜻. 애호랑나비 벼룩잎벌레 방아벌레 노랑털기생파리 각다귀애벌레 꽃벌류 - 아주 작아요 잎벌류 등검정쌍살벌 등검정쌍살벌 배 더보기
20130404 곤충 장소 :금토동 정일당 강씨묘 근처 총채민강도래 털보재니등에 너무작고 귀여웠습니다 빌로오드재니등에-털보재니등에보다는 조금 크고 더 갈색이 진합니다. 털보재니등에 모메뚜기 약충 -손바닥은 조약돌~ 둠벙에서 건져온 두꺼비 올챙이와 거머리 갈구리나비 배 갈구리나비- 날개 아래쪽이 갈구리 모양이에요 등검정쌍살벌 강도래 검정풍뎅이 애벌레 도룡뇽- 아직 잠에서 덜 깨서 헤롱헤롱 올괴불나무 꽃 노루발풀 고마로브집게벌레 세잎양지 더보기
협동조합 표준 정관 더보기
2013.3.07. 곤충탐사1(청계산) 곤충생태교육연구소 한영식 소장님과 함께 올해 곤충탐사 수업을 듣는다. 3월7일 첫 수업! 3월7일이면 이른 봄이다. 이른 봄은 강도래 우화시기이고, 겨울잠을 자고난 애벌레도 클 만큼 켜져서 보기에 좋은 시기이다. -돌 밑. 나무, 낙엽 쌓인 따뜻한 곳이나 나무 속을 보면 보인다. 곤충은 워낙 그 종류가 많아서 각각 종의 이름을 모두 알긴 어렵다. 대신 목 정도로만 구분해도 훌륭하다. 우리나라의 곤충의 그룹은 1. 딱정벌레 목-3500 여종 (무당벌레. 잎벌레. 먼지벌레. 방아벌레. 거위벌레. 바구미 등) 2. 나비목-3200여종 (나비. 나방 ) 3. 벌목 - 2100여종(잎벌, 꿀벌, 말벌, 개미) 4. 노린재목- 1600여종(매미. 매미충, 거품벌레, 진딧물, 침노린재, 쐐기노린재, 노린재, 공대노린.. 더보기
협동조합이해하기 내일 저녁에 강의 후 함께 이야기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정도 되겠습니다. 협동조합 참 좋다와 협동조합으로 기업하라 책을 보시지 못하신 분들은 이 자료 읽고 오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내일 평생학습원 304호 7시에 뵙죠 더보기
교수자 자기 평가 체크리스트 지난 번 풀잎이 준 자료인데 이제 정리해서 올립니다. 아마도 실내 강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다 맞진 않아도 우리 샘들도 한 번 체크 해보는것도 좋을 것 같네요~ 더보기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의 차이 http://ethiconsumer.tistory.com/272?top3 http://blog.daum.net/beitself/16104296 더보기
좀깨잎나무와 거북꼬리의 비교사진 더보기
맹꽁이 조사 야장 인쇄해서 쓰세요~ 더보기
2012.6.30 맹꽁이 소리 동영상 소리만 들리고 맹꽁이는 보이지 않아요~~ 더보기
20126월30일 안양천에서 맹꽁이 안양천 뱀쇠다리에서 구일역 쪽으로 돌아 다시 뱀쇠다리로 돌아오는 코스에서 발견.. 더보기
맹꽁이를 찾아라 7월 2일 늦은8시~9시경에 원경이랑 열심히 뒤져서 딸래미의 도움으로 ㅋ ㅋ 소하초등학교 앞 육교 밑에서 찾았습니다. 더보기
숲안내자교육3강-구름산의 숲과나무(박병권샘) 제3강 구름산의 나무와 들꽃 작성자 : 안정은 / 2012.6. 20 1. 숲에 온 목적 1> 조상(선조)들의 고마움 알기 2> 상처가 주는 좋은 것 3> 땅이 주는 면역반응 4> 나무로 인해 내가 살고 있다는 고마움 알기 2.숲에 오는 이유 1> 흙을 밟는다. 2> 생물들과 만나고 보면 빨리 갈 수가 없어 느긋해 진다. 3> 숲은 다양한 모양과 구조들이 있다 4> 삶의 테두리와 숲에 테두리는 같다 3.우리가 만난 식물들 * 참나무과 식물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 지표식물(사초, 애기똥풀, 큰애기나리)등 * 버드나무, 밤나무 꽃, 담쟁이 덩굴, 질경이 ,덜컹나무, 산초 등을 4. 식물들 비교 및 특성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 사초- 대표적인 지표 식물(특정현상.. 더보기
제4기 숲안내자교육 2강 박경아님이 정리하신 내용입니다. 6월13일 오전 10시 ~ 12시 주제: 숲 안내활동 이론과 실제 강사 : 심상옥(햇살자연학교대표) 장소 : 두꺼비 산들학교 작성자 : 박경아 강사님의 전문(?)분야는 어린이 생태문화 운동가에 가깝다. 생태기행으로 인해 생기는 일들에 대해 보존론 주장 측과 체험론 주장 측의 논의 포인트 보 존 론 자 체 험 론 자 체험 한답시고 쓰레기 버리고, 똥 싸고, 식물을 자르고, 밟고 파괴하는 것 밖에 없다. 작은 희생으로 인해 더 큰 것을 얻을 수 있으며, 경험함으로 관심자 생기고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 생길 것을 기대한다. 체험활성화로 망가진 습지피해 지역 - 강화도 동막 갯벌 강사님이 오랜 세월 생태관련 강의를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일인 한 분의 얘기 중 “강화도 습지지역 .. 더보기
두꺼비산들학교 회원들 답사를 가다.... 더보기
20120416 제3지점 귀엽죠! 더보기
20120409 제3지점 올챙이들이 대부분 깨어났어요 이쁘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