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나무들은 어떻게 겨울을 날까요???

320x100
가을이 되어 기온이 점점 떨어지면 모든 동식물들이 겨울준비를 하지요. 겨울나는 방법에 따라 나무는 늘푸른 나무와 낙엽이 지는 나무로 나눌 수 있습니다.

늘 푸른 나무

소나무(소나무과)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자라고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나무입니다.
활엽수에 비해 침엽수의 바늘잎은 끝에서 밑등까지 별 차이가 없으며 잎의 외면은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단단한 밀랍질로 되어 있어 겨울나기가 쉽다. 또 활엽수에 비해 표면적이 훨씬 작아 수분손실이 적은 편이라 잎사귀를 떨어뜨리지 않고도 생존할 수 있다.



사철나무(노박덩굴과)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 겨울에도 푸른잎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요.
남쪽 지방에는 사철나무 외에도 동백나무, 유자나무, 치자나무, 호랑가시나무 등 늘푸른 활엽수가 있는데 사철나무는 그 중에서도 가장 추위에 강해서 서울 뿐 아니라 황해도에서도 자란다.


낙엽이 지는 나무

갯버들(버드나무과)
회색빛 솜털이 주홍색 껍질을 벗고 나와 있어요. 나무들은 겨울눈을 보호하기 위해
솜털, 비늘, 끈적거리는 액체 등으로 싸여 있는데 갯버들의 겨울눈은 특히 아름다워
꽃꽂이용으로 많이 쓰여요.
봄이 되면 노란색 수꽃이 피어요.




산수유(층층나무과)
잎은 거의 다 지고 빨간 열매와 겨울눈만 남았어요. 동그랗게 큰 눈은 2쌍의 껍질 안에 내년에 필 노란색 꽃을 20-30개 정도 채우고 있어요.
봄이 되면 잎보다 꽃이 먼저 피어요.
꽃이 예쁘고 잘 자라 요즘은 집 주변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어요.





상수리나무(참나무과)
참나무과는 우리 나라 같은 온대 활엽수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랍니다.
상수리나무는 겨울에 꽃눈, 잎눈 뿐 아니라 지난해 봄에 생긴 어린 도토리도 두꺼운 총포에 싸여 있습니다.
총포는 잎이 변한 것으로 꽃이나 열매를 보호하는 구실을 한답니다.
상수리나무의 도토리는 겨울을 한 번 나고 2년째 가을이 되어야 다 여뭅니다.





┃나무의 겨울나기에 대한 Q&A

나무는 어떻게 잎을 떨어뜨리는 시기를 아나요?

일조 시간이 짧아지고 기온이 떨어지면 나무는 이를 감지하고 나뭇잎과 줄의 접합부분에 특수한 코르크세포의 장벽인 떨켜를 만들어요.
그러나 건,우기가 뚜렷한 지역에서는 건기가 시작되기 전 나무는 잎사귀를 떨어뜨려요.

낙엽이 지고 난 다음 겨울에는 나무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잎이 진 후에 나무의 모습으로도 어떤 나무인지 구별할 수 있어요. (예: 층층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양버즘나무 등) 그 외에도 주변에 떨어진 잎이나 열매의 모양
(예: 밤나무, 단풍나무), 겨울눈의 모양(예: 생강나무, 버드나무)과 수피(예: 굴참나무, 쪽동백나무, 물푸레나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답니다.

나무의 나이테는 겨울과 관계 있나요?

계절의 변화가 심한 곳은 나이테가 뚜렷하답니다.
사계절 중 봄에 가장 빨리 자라 엷은 색 고리가 되고 겨울처럼 성장이 느려지는 때는
세포 크기가 작아 세포벽이 두꺼워져 짙은 색 고리가 되지요. 엷은 색 고리와 짙은 색 고리 한쌍이 1년을 나타내요.

겨울눈은 어떻게 추운 계절에도 살아남을까요?

완전히 자란 겨울눈은 곧 싹트지 않고 얼마동안 겨울잠에 빠집니다.
이것은 휴면이라고 하지요. 아무리 추워도 꿋꿋하게 견디어내지요. 잠자는 시간은
나무마다 다릅니다. 휴면이 되기 전 겨울눈의 세포 속에서는 물이 빠져나와요.
기온이 0℃ 이하가 되면 물은 얼음으로 바뀌는데 얼음은 부피가 커서 세포가 터지거든요.
그래서 물기없는 겨울눈으로 겨울을 넘긴답니다.

봄이 되면 나무는 어떻게 알고 싹을 틔울까요?

날씨가 따뜻해져 온도가 올라가면 세포 속으로 다시 물이 들어오지요. 그래서 싹을
틔울 조건이 맞게 되어 눈의 크기도 커지고 물이 오르면서 눈이 터진답니다.
눈의 성장은 나무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에 의해 통제되구요. 요즈음 날씨변덕이 심하여 모르고 싹을 틔우는 식물도 있답니다.

겨울눈 중에 꽃눈과 잎눈은 어떻게 구별할까요?

앞으로 무엇이 되느냐에 따라 잎눈과 꽃눈으로 구분해요. 단면을 잘라보면 그 모양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
잎과 꽃이 함께 나오는 섞임눈도 있어요.
꽃눈과 잎눈이 함께 붙은 가지에서는 보통 가지 끝에 뾰족한 것이 잎눈이고 둥글고 퉁퉁하면서 큰 것이 꽃눈이랍니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