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두꺼비 산들학교 7월 15일 수업 정리-김세란

320x100


두꺼비 산들학교 7월 15일 수업 정리

 

 

김 세 란

 

 

일시 : 2013. 7. 15 오전 10:00~12:00

장소 : 두꺼비 산들학교 일대

강사 : 산들조약돌 선생님

 

 

오늘은 숲안내자교육을 모두 마치고 처음으로 두꺼비 산들학교 선생님들과 같이 회원활동으로 하는 수업이였다. 오늘은 산들조약돌 선생님이 두꺼비 산들학교 일대에서 영회원입구까지 걸어가면서 설명하시는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식물수업을 앞쪽에 진행을 해서인지 수업을 들었음에도 생소한 식물도 있었고 기억이 가물거리는것도 있었다. 사진은 핸드폰카메라로 찍어서 확대를 하니 화질이 좋질않았다.

 

1. 참나리

검은색 주아가 있으며 씨는 아니지만 싹이나서 자람

군락을 이루며 키가 큰편임

(참나리) (주아)

2.자주달개비

방사능 검출 지표종? 방사능 오염물질이 있으면 보라색꽃이 분홍색으로 바뀜

(자주달개비)

3. 작약

여러해살이풀로 모란과 비슷하다.

차이점 작약은 씨방이 2~3개있고 왕관모양 알맹이, 모란의 경우 나무이며, 씨방이 5개 털이 있고 향기가 없다.

(작약)

4. 으아리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덩굴식물

4~5장의 흰색의 꽃받침잎이 꽃잎처럼 보임

(으아리) (큰꽃으아리 씨방)

5. 방풍나물

풍을 예방해 준다고해서 붙인 이름, 찾아보니 산후풍을 예방하고 뿌리는 우황청심환재료로 쓰인다고 함

향이 진해 여러 곤충들이 방풍나물에만 모여있었음

제니꽃등애, 귤빛부전나비, 주황큰부전나비, 하늘소

나비의 이름으로 의견이 분분하여 수업중에 찍었던 사진을 첨부함

(귤빛부전나비) (제니꽃등애) (하늘소)

(귤빛부전나비) (큰주홍 부전나비)

 

6. 백일홍

국화과로 백일간 꽃이 핀다고해서 이름이 붙여짐. 꽃속에 꽃이 있음

(백일홍) (백일홍 확대)

 

7. 닭의 장풀

일반적으로 달개비로 불림

(닭의 장풀)

 

8. 질경이 (차전초)

한나라때 원정을 가덩중 풍토병에 시달리던 병사와 말이 있었는데 말이 질경이를 먹고 회복이되자 죽을 끊여 먹고 살아났다는 얘기가 있으며 차, 나물로 먹고, 거담작용, 이뇨작용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9. 며느리 배꼽

며느리 배꼽은 입자루가 배꼽에 위치하고 가시가 나있는 것이 특징

며느리 밑싯개와 비슷하나 입자루 위치, 가시여부로 구분가능함

 

(며느리 배꼽)

 

 

10. 좀명아주

명칭에 좀이라 붙으면 작다는 의미

(좀명아주)

11. 노각나무 꽃

(노각나무에 핀 꽃)

 

12. 대왕참나무

가구에 많이 쓰이는 핀오크임

(대왕참나무)

13. 홀왕원추리

원예종 나리와 비슷하지만 꽃대만 올라와 꽃이피고 주아가 없음

자생원추리의 경우 노란색이며 하루만핀다하여 서양에선 데이달리라고 함

덩이뿌리이며 녹말성분이 있어 맷돼지가 좋아함 쌀이랑 같이 떡을 해먹기도 하고 나물로도 먹음

(홀왕원추리)

 

14. 박주가리

열매는 위에 좋음

줄기에 하얀진액은 모기 물린데 가려움이 없어지고 덩굴 식물

박주가리가 멀리 있어 찾아보니 잎은 마주나있고 하트모양의 잎이 있음 하수오와 비슷하나 씨방의 모양, 잎줄기가 만나는 곳의 모양으로 구분한다고 함. 박주가리는 씨방이 통통하고 잎줄기 만나는 곳이 V자 모양임

(박주가리)

15. 미국자리공

귀화 식물로 다른 식물을 자라지 못하게 하여 자연생태에 좋지않음

염료로도 쓰이며 새순때만 먹고 그 외에는 먹지않음

(미국자리공)

16. 고마리

떡, 나물, 차로도 마심

폐쇄화(대표적폐쇄화로는 제비꽃)

몽우리 상태로 수술암술이 자가수분 하는 것을 폐쇄화라하며, 고마리의 경우 꽃이 위와 아래(뿌리쪽, 흰색)피며 땅속에서 폐쇄화가 된다.

정수작용을 함

(고마리)

17. 칡

콩과

(칡)

18. 명자나무

봄에 예쁘게 핀 명자나무 꽃을 보았는데 열매가 열리기 시작. 가지에 큰 열매가 단단하게 붙은 모습이 인상적이였음

(명자나무)

19. 회양목

도장나무라고도 불리며 정원수로 많이 쓰인다. 잎으로 배모양 만듬

(회양목 잎 배) (회양목열매)

 

20. 서양측백나무와 측백나무

측백나무는 1년내내 열매가 있으며 서양 측백나무와의 차이점은 열매의 크기, 색, 모양등으로 구분한다.

서양측백나무는 연두색의 타원형의 열매가 다닥다닥 붙어 있으며 측백나무는 청록색의 둥근둥근모양에 돌기가 나있는 형태를 띄고 있다.

(서양측백나무) (측백나무)

 

21. 느티나무

작고 검은빛의 열매

정자나무로 느티나무가 80%차지하며, 그 외 팽나무 은행수나무등이 쓰인다고 함

나무는 나이테가 있는부분이 썩어 없어지더라도 표피에 있는 물관부 체관부만 있으면 살아남

(느티나무)

22. 단풍잎 돼지풀과 돼지풀

둘다 교란식물로 사진에서 위로 길게 자란 것이 단풍잎 돼지풀이고 밑에 키작은 쑥과 비하게 생긴 것이 돼지풀임

(단풍잎 돼지풀과 돼지풀)

23. 왕바랭이

 

24. 자기나무

합환나무로 신혼부부가 있는 집에 심었다고 함. 입이 접어짐

 

25. 가락지나물

뱀딸기와 비슷하나 잎이 5갈래로 나뉘며, 뱀딸기는 3갈래잎이 있다.

(가락지나물)

 

26.중국단풍 오리발모양

 

27. 산딸나무

 

28. 그 외 나무 기둥에 핀 이끼와 버섯, 나무위에 자리잡은 환삼덩굴

 

29. 산들조약돌 선생님 팔에 앉은 네발나비

 

 

이상으로 수업을 마치고 맛있는 점심식사를 하였다. 밭에서 딴 토마토와 고추, 깻잎과 함께한 점심은 너무 맛있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초보 운전자의 작은 사고가 있었지만 다시 또 가고 싶은 마음이 절로 생긴다. 첨으로 작성해본 글이기에 많이 미흡할 듯 하지만 뿌듯함을 느끼며 그만 마친다. 읽어주신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