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숲에사는 산림 미생물-환경해설가 중급심화반

320x100
초정님 블로그에서 퍼왔슴다. 이번 강의는 제가 결석을 했답니당...


 숲에 사는 산림미생물

                                                                   국립수목원 임업연구관

                                                                                   농학박사 김 현중


                                                                              푸른광명21실천협의회 중급반 채영재


프롤로그

김 현중: 광릉수목원은 1984년부터 조성하여 ‘87년에 완공, 관리되었으며

국립수목원의 모체가 되었다.

1999년 새롭게 국립수목원으로 개원하여 그 일부에 산림생물조사연구실에서

생물과 관련하여 동물, 식물, 미생물분야를 조사, 수집 및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 연구진에 오늘 강의를 맡으신 김 현중(농학박사)님이 계신다.

고부가 가치 식물자원 탐색 등에 노력하고 계시며 버섯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김 현중님은 1974년부터 임업연구사, 연구관을 거쳐 연구진에 들어

금년에 정년을 맞으셨지만 그분의 열정은 우리를 숙연케 한다.


 사진1- 수업분위기 좋슴다.


광릉수목원에서는 인터넷공모를 통하여 숲 해설가를 배출하여

시민들의 환경적 감수성을 한 차원 높이는데 그 역할이 크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버섯에 대해 무지하다.

한 예로 모 백화점에서 인공 재배한 새송이버섯을 자연에서 나는 버섯이라고

하며 판매하는데 소비자를 우롱하는 처사다.

그것은 마치 돼지고기를 한우로 둔갑시키는 일과 같다.

판매하되 정확하게 명시해 판매하여야 한다.

*송로버섯(덩이버섯)은 땅속의 보석

  -최상품1Kg에 1억

  -개, 돼지를 이용해 키워 서양인이 최고로 치는 보석이다.

  -캐비아, 푸아그라와 함께 서양3대 별미

    페로몬 닮은 독특한 향....

  -한국의 최고 버섯;덩이버섯, 표고버섯, 송이버섯(300~400t)

    한국인은 버섯 먹다 중독되거나 모르면 먹지 마로 일관한다.

 *Weight of picked wild mushrooms in the

      CR into Kg/per family.

   체코 야생버섯 소비 많다.

 In year 2006 was collected

     26,000,000kg of wild mushrooms.

   100,000,000EUR as a total value.

    -체코는 버섯 많이 나는 철엔 독버섯 구분 팀이 운영되고 있으며

     식용 버섯 등을 자세히 안내해 주고 체계가 정립되어 있다.


  Ⅰ.산림미생물


1.산림미생물의 정의

 눈에 보이지 않아 의식적으로 느끼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지만

 숲에서 사는 모든 미생물을 산림미생물이라 하는데 나무, 풀과

 같은 식물체와 관련하여 살고 있다. 한 예로 버섯이 있는데

 버섯은 땅에서 나와 자기모습을 드러내는 시간이 짧으면 한 두 시간

 길면 하루 이틀이라 버섯과의 시간 포착이 힘들다.

 따라서 접근성이 어려워 버섯의 종류, 관련분야, 분류공부

 인원이 적은 것이 지금 우리의 현실이다.

2.산림미생물의 종류

  1)병원균(病原菌):살아있는 나무에 기생하여 나무의 생장을 저해하거나 고사시키는 해균

  2)균근균(菌根菌):서로 도움을 주면서 살아가는 공생균

  3)부후균(腐朽菌):산 나무와 죽은 나무에 기생하여 목질부를 썩히는 미생물

   →위 미생물 중에서 자실체(子實體)를 만드는 종류를 버섯균 이라 부른다.

   

    *수목병원균

       녹병균: 모과나무 뒷면이나 나무줄기, 뿌리 등에 생기며 송진을 흘리기도 한다.

    *병원균(病原菌)의 종류

       비 생물성 원인-기후, 토양등 환경요인

       생물성 원인-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오동나무빗자루병,

                   소나무에이즈[소나무재선충병]


3.우리나라 식물병해 종류

   식물병해:2728종(887종)

   수목병해:1080종(353종)

 

 1)주요한 수목병해

  ①잣나무털녹병

    -1936년 발견:강원도 유양군, 경기도 가평군

      →高木五六 발견.

    -1965년 재발견:강원도 평창군

    -1970~1999에 강원도 일원에 대 발생

    -세계 3대 병해중 하나

      밤나무동고병, 느릅나무시들음병

    -나무가 20년 이하의 어릴 때 걸리고 크면 잘 안 걸린다.

   *이병목과 녹포자 분출시기(라일락, 철쭉 개화기)

     노랑가루가 날아가서 살아있는 나무만 기생

   *중간기주 송이풀:여름포자, 겨울포자

     잎뒷면에서 자라며 소생자가 날아가 기공으로 들어가

     노랗게 나와서 기주를 바꿔가며 산다.

  ②소나무혹병/소나무털녹병

    -곰솔(흑송,해송)

    -소나무(적송):내륙지방


 사진2 - 금강산 신계사 앞 적송



    *소나무혹병(중간기주-참나무류

                                    -작약)

    *피해목과 중간기주

      소나무에 혹이 달려 있는데 지금은 혹으로 골동품(연필꽂이)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피해목(가지, 주간, 상층부)

    *피해목

      소나무의 가지가 부러진다.

  ③소나무재선충병(소나무AIDS)

     -판자에서 1mm이하의 작은 선충을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부산 금정산의 소나무 숲으로 ?겨 1988. 10월 발견.

          *일본은 1905년에 발생하여 1972년 구명되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일본은 송이가 안나 ‘60년대부터 일본에 송이를 팔고 있다.

          *송이는 숲이 울창하면 송이는 안 나오고 다른 균은 못살고

           송이만 살 수 있도록 송이 밭을 조성한다.

    -피해:소나무, 곰솔, 잣나무

    -전파:재선충→매개충→소나무

    -감염목은 100%고사

    -피해임지

         *광릉수목원 1Km근처까지 잣나무 재선충 비상

             (중앙일보 2007.3.24토에 보도자료)

         *남양주 국유림서 2그루

         *중국 황산 반경 5Km내 나무 다 베어버려.(중국이니까 가능)

   -소나무재선충과 매개충

         *재선충:♀0.7~1.0mm, ♂0.6~0.8mm

         *매개충

             -솔수염하늘소:2.2~3.0Cm

             -북방수염하늘소:솔수염하늘소의 2/3크기

                    잣나무에의 매개충으로 확인

          *감염:보균한 매개충이 신초를 갉아 먹을 때 감염된다.

          *피해목은 모두 베거나 소각처리 또는 훈증처리 하는데

           국가사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④참나무시들음병

     -2004.8월 침입

        *광릉긴나무좀

           이상기온으로 인하여 없던 병이 생기고 일본이나 광릉수목원에도

           나무가 말라죽어 베어낼 수밖에 없다.

        *구제방법은 주사기로 할 수 있으나 베어낼 수밖에 없다.

        *피해목:방제처리(일본)

           피해목의 이용-버섯재배(일본)

  ⑤뽕나무버섯균

  -뿌리가 썩어서 생긴다.

  -수목병원균

      *피해임지와 피해목(잣나무)

      *피해목 근경(송진누출)-형성층부위 파괴(백색균사)

      *배양균(생태종 존재), 백색균사(부채살 모양), 균사속

  -뉴질랜드 Radiata pine의 피해

    (뉴질랜드 임업에 관한 설명 재밌는데 시간 없어 생략,

     100ha의 산을 3사람이 벌채하는데 3시간이면 끝이고 트랙타로 산 갈아엎는다.)

⑥식용버섯균

  -뽕나무버섯(연질버섯)-재배 개발 되었으나 타산 안 맞는다.

   (딱딱한 상황버섯과 다르다)

    *참나무에 기생

  -팽이버섯:야채화

  -땅속의 황금!

    천마재배-뽕나무 버섯균 이용

             난과식물.

             실처럼 뻗어나가는 균으로 영양 받아 증식.

             천마의 종마(새끼)가 자체 분식하는 힘으로 재배

             천마를 쪄서 말려 내년 봄에 인공재배 균을 인위적으로 키워

                  참나무 틈바구니에 넣어 키우는데 나중에 엄청나게 분다.

      *인공재배과정-참나무토막주변

          *후라스코안에 참나무가지를 잘라서 넣고,

            균을 배양한 후 종마를 넣고 증식.

      *천마의 생활사

⑦그밖의 병해

  -벗나무빗자루병-걸리면 그 가지는 죽는다.

  -버섯은 병과 연관이 있다.

  -사람이빨모양의 병이 있다.

  -녹병-노랑 하양-흰가루병(백분병)

  -나무썩히는병

  -가운데부분에 꽃송이버섯:약효좋아 일본에서 비싸게 시판                             

                           약용버섯균

  -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 지역은 나무에 걸린 병이 육안으로는

   구분이 안 돼 드릴로 1mm두께로 뚫어 나무를 진단한다.

  -피해임지

    白根山(일본):병관계

    鎬枯山(일본):나무가 말라 죽는 게 멀리서 보면 띠를 이루면서 죽는다.

    우미산(일본 2405m)


Ⅱ.숲속의 진주-버섯


 사진3 - 구름산에서 찍은 물박달나무에 핀 버섯


 *버섯은 자연의 청소부다.

 *송이버섯, 구름버섯


 사진4 - 우리 집에서 우려 먹고 있는 운지버섯



  1.생활속의 버섯

     -가락시장 뒤편:버섯모양 분수

                    버섯의 포자분출 분수

     -일본:버섯모양조각가:광대버섯-독버섯으로 일본은 많으나 국내엔 없다.

              치료의 숲코스

     -중국:문화화룡관호텔:송이모양으로 만든 휴지

     -자성 자연사박물관 전시관:쌍둥이 야자 나무열매


 2.버섯의 정의

   -버섯이란 한마디로 곰팡이(菌)의 일종이며,

    이 곰팡이의 번식체인 子實體가 곧 버섯이다.

   -버섯을 식물에 비유하면, 꽃이나 열매에 해당한다.

      *버섯의 일생

                     포자

             포자발아       버섯

               균사체   어린버섯

      *버섯의 역할

         1)부후균:유기체를 분해시켜 흙으로 되돌리는 환원자(분해자)의 역할

         2)균근균과 병원균:식물생육을 촉진(공생)

         3)제3의 역할

  -버섯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버섯은 엽록소가 없는 식물군이며, 탄소동화작용 능력이 없어

         기생 또는 공생한다.

          예)양송이-볏짚

   -버섯은 어떤 조건에서 나는가?

         버섯은 자연 상태에서 온도, 습도가 적합하고,

         기생(공생)할 기주(寄主)가 있을 때 난다.

         포자 즉 균이 존재하더라도 위 3조건이 맞지 않으면 형성되지 않는다.

   -버섯은 어떤 곳에 나는가?

         1)땅위에 난다.

         2)나무에 난다.

         3)균체(버섯)에 난다.

         4)땅속에 난다-복령버섯과 덩이버섯

       *독버섯의 종류

          -화경버섯

           갈황색미치광이버섯

       *독버섯을 잘못 먹었을 때는?

          -억지로 토하게 한다.

          -의사에게 달려간다.

 3.버섯이 자라는 곳

         침엽수림, 활엽수림, 대나무림, 죽은 나무와 넘어진 나무

         풀밭이나 낙엽위, 동물 배설물이나 부식물, 벌레나 다른 버섯위

           예)망태버섯


 사진5 - 구름산 정자지붕에 핀 버섯


    -버섯이 나는 모양

           ①단생 ②산생(散生) ③군생(君生) ④속생(束生) ⑤균륜(菌) ⑥중생(重生)

       *송이는 둥글게 원이 자꾸 커지며 나는데 평생 딸 수도 있다.

    -버섯의 종 분류

          [기본형] 갓, 주름살, 턱받이(고리), 대(자루), 대주머니

      *버섯은 400종이하(박완희 도감-남편 생태사진작가)

            500~600종 정리 중인데 60%의 진행 중이다.

        ①발생상태:단생, 산생, 군생, 속생, 중생, 균륜

                  깔대기 모양, 중첩되어 나기도 한다.

        ②갓모양:원추형, 종, 반구, 볼록 또는 오목반구형

             ②-1,갓표면:인편, 사마귀점, 방사상선

             ②-2,갓 끝모양:곧은형, 굽은형, 말린형

        ③주름살모양:떨어진형, 완전붙은형

                     끝붙은형, 홈형, 내린형

             ③-1,주름살 밀도:성기다. 약간성기다.

             ③-2,주름살 날 모양:평활형, 파도형, 무딘톱니형, 톱니형, 부정형

        ④턱발이 부착상태:하위, 중위, 상위

        ⑤대의 모양과 부착상태:중심생, 편심생, 측심생

        ⑥포자(크기, 색), 균사 등의 현미경 관찰

4.재배버섯류

  1)우리나라의 재배버섯류

    ①잎새버섯-튀겨서 맥주안주 쥑여!

    ②팽이버섯-팽나무 버섯

               자연산:향 그대로 살아있다.

    ③버들송이버섯

    ④새송이버섯:느타리버섯 계통이나 김 학균 경남지사가 진주 농촌진흥청에서

                시식 후 명칭 정함.

    ⑤느타리버섯:자연산은 육질이 다르다.

    ⑥실령버섯(아가리쿠스)

    ⑦영지버섯


 사진6 - 우리 집에서 우려먹고 있는 영지버섯


    ⑧상황버섯(뽕나무상,누르황)즉 桑黃이라 한다.

       -나무종기(나무환부, 진흙버섯종류 계통 15가지 인데 시중엔 진짜 없다.

        진짜는 뽕나무에서 나와야 한다.

        균은 참나무에서도 자란다.

    ⑨뽕나무버섯

    ⑩잣버섯-침엽수 그루터기에서 자라 솔향기가 난다.

             수효 안 따라 시판이나 일반화 안 되어 있다.

    ⑪양송이버섯

    ⑫노루궁뎅이버섯

    ⑬목이버섯

    ⑭복령버섯

5.독버섯 구별하는 방법

   -전문가도 어렵다.

   -우리나라는 무조건 먹지 말라 인데 사전조치하면 먹을 수 있다.

   -독버섯의 속설들은 정답이 아니니 절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

    *독버섯 응급처치요령

      -버섯은 먹음직스럽고 양도 풍성한데 식용금지 버섯으로 정해 놓은 것이 있다.

       왜냐면 똑같은 모습의 독버섯이 있어서이다.

       사람들에게 혼동을 주니까 아예 식용금지 버섯으로 정했다.

6.식용버섯과 유사한 독버섯

      -화경버섯:버섯은 광릉수목원에서 버섯 연구진들이 사고가 난 적이 있다.

                소고기에 섞어 맛있게 볶아 먹었는데 그날 수목원

                화장실은 사람들로 난리가 났었다.

                딱 한 사람 술 사러 간 한사람만 모면 했다는 얘기

      -형광불빛독버섯(정확한 이름 아님):짜개면 안이 새까맣다. ↔ 느타리는 없다.

                      바깥부분은 똑 같다.

      -먹물버섯

      -시로의 연령에 의한 진단

           젊은 시로   장년기의 시로   노령화된 시로

 

  *송이(松栮)버섯-일본사람들 향을 살려서 송이수제비 먹는다.

                  송이 최고로 맛나게 먹는 법

                    ․ 구워서 향 맡으며 뜯어 먹는다.

                    ․ 그러나 값이 비싼 게 흠.

                    ․ 갓이 벌어 졌을 때 가장 좋다.

                    ․ 관리해주면 안 깨지고 계속 잘 자란다.

                    ․ 산에서 원행은 잘 안보이나 밭은 유지되는데 돌이나 낙엽,

                     다른 나무 솎아주고 밭 관리를  하는 것이다.

                     과수원처럼.

                     산에서 나는 송이산이 아니라 밭 관리다.


에필로그

느낌 없이 살면서 고마운 존재는 참으로 많습니다.

공기도 그렇고 따사로운 햇살이 그렇고....

우리 눈에 안 보이는 미생물도 그렇습니다.

열강해주신 김현중 박사님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사진7 - 열강하시는 김 현중 박사님



수업 끝나고 하안도서실에서 점심 먹고 구름산 다녀왔습니다.

우리끼리 하는 공부 더 재밌던 걸요

보너스!


 사진8 - ?


 사진9 - 다릅나무


 사진10 - 까치수영


 사진11 - 소나무


소나무에서 Phytoncide 느끼시고 건강한 모습으로 만납시다!


Phytoncide 의 건강 효과

 1.몸과 마음을 안정하게 한다.

 2.상쾌한 향을 내뿜어 간을 보호한다.

 3.맑은 공기를 마심으로 세균번식을 억제한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