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자세히 읽어봄 직한 내용(코닥지와 초창기에 했던 수업)

320x100
1. 진달래(참꽃)


   1) 긴것(암술)

       - 바깥것을 받겠다. 독이 많다.

   2) 짧은 것(수술)

       - 먹을 때 여름은 괜찮으나 아이들은 너무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

   3) 꽃(꼬시는 것)

       - 속에 독이 많다.

       - 딸 때 방법을 알면 자연훼손이 안된다.

       - 서로를 알면 싸우지 않는다.

          (여기서 싸움이란 자꾸 움트는 것을 싸우는 것이라고 말한다)

   4) 회잎

       - 잎을 뜯으면 다시 돋아나는 것.



2. 홑잎나물

    1) 홑은다.

    2) 살아있는 기가 들어간다.

    3) 아이들은 먹게 하면 오묘한 맛

    * 진달래 꽃 = 홑잎나물 = 꽃쌈



3. 생강나무

    1) 꽃은 지고 잎이 나는데 잎을 부각을 해서 먹는다.

    2) 잎은 털옷을 입고 있는 데 그 안에는 완벽한 잎 모양이 있다.

    3) 먹을수 있다.

    4) 회잎, 꽃과 함께 쌈을 싸서 먹는다.



4. 졸참나무 잎

    1) 탄닌 성분이 많아서 간경화, 간예방에 좋다.(여기서 탄닌 성분이란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이다)

    2) 샐러드에 섞어서 드레싱 소스에 먹으면 좋다.



5. 민들레

    1) 봄철에 먹는것 중 쓴 맛 나는 것에는 씀박이, 그들박이, 민들레(잎은 나물, 꽃은 부각)

    2) 쓴것 : 쓰임새가 많다.

    3) 양약도 입에 쓰지만 몸에 좋다.

    4) 질경이 한방에서는 차전, 우마차가가 다니는 길에서도 산다.

    5) 병은 없는데 힘을 못쓰는 사람에게 좋다.

    6) 씨앗을 기름 짜서 먹고 나물 해 먹으면 좋다.

6. 숲의 형성과정


    1) 맨땅에 1년풀

    2) 여러해살이

    3) 싸리나무

    4) 칡과 덩굴성 같은 식물

    5) 빛을 좋아하는 키 큰 나무(예를 들면 소나무이며 소나무는 군집을 좋아한다.)

    6) 진달래가 살짝 소나무가 사는 없에 살아서 참나무가 들어 올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준다.

    7) 진달래의 중요한 역활 :참나무가 쉽게 들어온다. 진달래가 많다면 이제까지 소나무가 많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8) 참나무

    9) 서나무(진짜 나무)

    10) 극상림(마지막단계)은 숲이 되는 최종 단계로서 극상림이 되는 기간은 150년 ~ 200년이 걸린다.

    11) 변화시기를 10년 주기로 본다.

    12) 산불은 나무에 치명적이며 숲을 원점으로 돌린다.

    13) 활엽수는 무한 성장한다. 조건만 좋으면 빨리 자라나 그럴수록 무르다.



7. 양지꽃


    1) 다물어 있으면 해가 안나온다는 뜻.

    2) 낮이라고 피기 시작하면 해가 나온다는 뜻.

    3) 흐린날에 곤충이 안나온다.



8. 꽃말이

    1) 꽃이 말려 있어서 말린 꽃이 펴지면서 밑에서부터 핀다.

    2) 꽃이 말려 꽃말이 진짜꽃 진달래



9. 양지바른 양지꽃

    1) 참나리 : 먹는다 꽃이 펼쳐지는게 똑같다

    2) 개나리 : 못 먹는다.



10. 봄에 꽃이 피는 순서

    1) 봄철에 노란꽃이 먼저 나고 많이 핀다. 이유는 눈에 띄기 때문이다

    2) 노란색의 꽃에는 산수유, 생강, 개나리, 양지꽃, 민들레, 복수초, 애기똥풀, 피나물등이 있다

    3) 그다음에 하얀색 뚜렷한 색깔



11. 꽃들의 특징

      1) 꽃다지 : 꽃이 피기전에 밑에 것 먹고 피면 꽃만 먹는다. 간, 위에 좋다.

      2) 제비꽃 : 이 꽃이 필 때 제비가 온다. 제비꽃이 많은곳에 뱀이 나온다. 벌이나 독충에 알러지 있는

                      사람 나물해 먹으면 증상이 완화된다



      제비가 온다 제비꽃

      병아리 나온다 병아리 꽃

      오랑캐 온다 오랑캐 꽃

      앉아서 피는 앉은뱅이

      반지 만드는 반지 꽃



      어치(산까치) - 생략



12. 원추리(망우초)

     1) 근심을 잊게 해준다.

     2) 겨울을 지난 야생동몰과 사람까지 원하는 만큼 추스려 준다.

     3) 많이 먹으면 설사, 변비에 좋다.

     4) 일부책에서 이상하게 써 놓았다.

     5) 봄철에 차가운 식물이라 몸을 돋우워 준다.

     6) 된장국을 끓여 먹으면 좋다.



13. 벼룩이자리(벌금나물) : 농번기, 논이나 밭 주변에서 뜯어 먹는것.

14. 개고사리 : 시골가면 진짜 좋은 나물이 막나물이 좋다(최고)

15. 풀이 100가지만 섞으면 가장 좋은 약이다.

     (원추리, 춘란, 잔듸싹, 고사리)- 산야초



16. 나물을 해먹는 방법


     1) 독이없는 나물 : 생으로 먹는다.

     2) 독이 있는 나물 : 데쳐서 참기름 소금 또는 된장을  넣는다. 그러면 독을 없앤다.



17. 사약 :

      1) 독이 잘 퍼지게 한다.

      2) 천남성 : 들어가면 위를 갂아 내어 목이 타들어가며 속을 파낸다.

                       그것도 묵나물을 하면 먹을 수 있다

      3) 묵나물 하는 방법(4단계) : 들기름에 볶는 다. 향기 강해서 독이 있다는 것.

          - 꺽어서 죽인다.

          - 삶아서 죽인다.(처음부터 푹 삶는다)

          - 말려서 죽인다.

          - 볶아서 죽인다.

18. 밤도 먹을땐 군밤이 제일 좋다.

19. 산벚 : 잎파리도 나왔다.

20. 벛나무

     1) 커운으로 따지면 화기가 극성.

     2) 조상님은 벛나무를 멀리했다. 이유는 화기를 천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3) 벛꽃은 화기를 돋운다.

     4) 우을증 있는 사람은 벛꽃놀이를 가면 좋다.

     5) 소나무 숲을 간다. 양기를 돋운다.

21. 씀바기

      1) 쓴것은 쓰임새가 좋다.

      2) 뿌리는 가을에 캐고 봄에 캘때에는 잎에 붉은 기운이 돌때에 캔다.

      3) 붉은 기운이라 태양을  머금었다는 뜻.

      4) 나물을 먹을때 붉은 기운 돋은 것을 캐서 먹는다.



22. 늑대거미

      1) 알집을 달고 다니며 집을 안 짓는다.

      2) 농사지을때 풀 태우면 옛사람은 논두렁을 태웠다.

      3) 요즘은 논이나 밭을 다 태운다. 이유는 늑대거미 미생물이 다 죽는다.



23. 잘산다는 것.

     1) 잘먹고 잘 싸고 잘 자는것.

     2) 잘먹는것 : 세끼

     3) 아침

         - 내가 나한테 침을 놓는 것이며 활력을 주는것.

         - 일어나자 마자 침을 세번 넘긴다. 그러면 배고프고 밥을 잘 먹게 된다.

         - 활력을 주는 방법은 벌떡 일어나는 것 온 몸이 놀래서 안좋다.

         - 애 깨울때 천천히 주물러 준다.

            a. 등을 천천히 쓸어 준다 이유는 등에 말초신경이 있기 때문이다.

            b. 중략

            c. 침샘을 자극하기 위해 얼굴을 매만진다. 얼굴에 침샘이 있다. 귀밑, 턱밑, 혀밑에 있다.

         - 건강문제는 얼굴에서 나타난다.

         - 눈 이나 간이 튼튼하려면 운동을 한다.

         - 간이 커야 일을 잘 한다. -> 운동을 하여 크게 한다.

         - 입술에 수표 생기는 것은 몸전체가 피곤하고 피가 곤한 것이다.

         - 입안에 노랗게 궤양이 있으면 암이 생길 징조, 위험하다.

         - 혓바늘이 생겼을 때는 말 그만하고 참아라.

         - 무탈하게 지내는 것은 머리가 있지만 못 느끼는 것이다.

         - 탈이라는 것은 머리가 앞다는 탈이 난 것이며 탈은 얼굴에 먼저 증상이 나타난다.

         - 귀가 굳어지면 기가 막힌것이다.

         - 얼굴은 수십번씩 보라. 아이들 볼 때 얼굴을 살펴라.

         - 눈다래끼 날때 눈은 99% 수분이 부족함으로 뜨거운 수건을 대면 염증이 쏙 낫는다.

         - 발의 굳은 살은 속에 열이 많으면 그렇다. 속을 차갑게 해 주어야 하는데 차를 많이 먹으면 좋다.

         - 아침은 왕처럼 특히 단백질 위주로 섭취하며 이는뇌발달에 좋다.

         - 산해진미, 고기등등을 먹으며 고기는 높은 기운을 준다.

     4) 점심

         - 마음에 점만 찍는것.

         - 영적으로 대추 세알로 대충.

         - 눈감고 잠을 잠시 잔다(명상)

         - 먹고 싶은것을 상상해 본다.

         - 그러면 먹은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시골에서는 가능하다(생기가 들어오기 때문)

         - 도시에서는 불가능하다(생기를 뺏긴다)



     5) 저녁

         - 해 저물녁에 먹는것.

         - 8시~9시 사이에는 취침.

         - 10시 이후에 먹는것은 독.

         - 거지처럼 풍성하게 먹는다. 그래서 저녁만찬 가리지 말고 있는 것 없는 것 다 먹는다.

  

     6) 아침초대 : 생일(고기) 저녁은 풍성하게

     7) 잘먹는게 최고다.잘먹으면 잘 싸고 잘 잔다.

     8) 아침에 큰일 보는게 제일 좋다.

     9) 싸우지 않으려면 같이 하는 시간이 많아야 한다.

     10) 같이 밥을 먹고 같이 자려고 할 때 서로 이해하게 된다.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스크림의 진실  (0) 2006.11.15
치자 염색  (0) 2006.08.16
봄 식물  (0) 2006.04.29
칼럼(결론)  (0) 2006.04.29
칼럼(4)  (0) 2006.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