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환경해설가교육(초급) 제7강
일시: 2008. 6.3(화)
장소: 광명문화원+문화원뒷산
주제: 식물의 이해
현장강의하는 시간인데 비가 와서 실내강의로 급히 바꿨는데 비가 안와서
1시간은 실내에서 강의듣고, 1시간은 문화원 뒷산으로 가서 현장교육으로했다.
지난시간에 이어 식물을 정식 분류법이 아닌 쉽게 구분하는 법
▉둘둘(2,2) 구분법
먼저 관목/교목/→침염/활엽→상록/낙엽으로 구분해나간다.
1. 직립성 목본식물
상록; 매년 새로운 잎이 나오며 잎색깔이 다르다
낙엽; 잎색깔이 다 똑같다(다 같이 새로나왔기 때문에)
잣나무: 잎이 5장은 같으나 수피가 거칠다
스트로브잣나무; 수피에 광택이 난다
단풍나무잎으로 마주나기하나 계곡주변에 있으면 →신나무
메타쉐쿼이아; 잎에 깃털이 있다
일본잎갈나무 = 흔히 낙엽송이라 불리는 나무다
생강나무; 잎이 3갈래로 예쁘게 나눠지면 생강나무 또는 백당나무다
상록활엽은 잎이 두껍고 반짝거린다.
2. 직립성 초본식물
그물맥 / 평행맥으로 크게 나눈다
토끼풀; 꽃하나에 하나씩 떨어지는 콩과식물 (박태기도 콩과식물)
괭이밥; 토끼풀과 흡사
사데풀; 바닷가에 흔히
개모시풀; 거북꼬리 비슷한데 잎이 큰것
거북꼬리; 잎의 가운데가 꼬리처럼 길다
닭의장풀; 잎뒷면이 잘 벗겨져서 새포관찰용으로 흔히 쓰인다
*제비꽃과; 꽃잎 4개는 작고 하나가 길다. ‘거’가 있다
줄기가 땅위로 올라오는것(콩제비, 졸방제비)가 있고 올라오지 않는것이 있다.
잎특징은 긴 삼각형
현호색과; ‘거’가 없다.
잎이 하트모양으로 광택이 나면 →마
3. 덩굴성식물
목본덩굴 ; 산에 있는 덩굴들
초본덩굴: 햇빗이 잘드는 풀밭에 있는것
산에 있는 덩굴로 포도잎같으면 모두 머루종류다
산에 있는 딸기 종류는 주로 산딸기나 명석딸기다
산딸기; 잎이 1개, 하늘로, 줄기가 붉다
멍석딸기; 잎이 3개
▉특징적인 과:
*국화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민들레형: 꽃잎이 하나씩 떨어진다 (망초, 코스모스, 뽀리뱅이)
해바라기형: 가운데가 둥굴게남는다 (뚱딴지)
엉겅퀴형: 꽃잎이 대롱모양, 잎끝이 길어지고 가시가 있다 (방가지똥, 샤데풀)
*꿀풀과: 줄기의 단면이 사각형이고 순형화관(나팔꽃모양에 끝이나눠짐)이다
같은 순형화관에 줄기가 원형이면 현상과(오동나무)
*벼과: 줄기단면이 원형 바람불면 넘어지는것이 특징, 이때 일으켜세워주지않으면
넘어진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달뿌리풀) - 그래서 벼가 쓸어지면 빨리 일으켜야함
사초과: 줄기단면이 삼각형이고 잎이 광택이난다
일시: 2008. 6.3(화)
장소: 광명문화원+문화원뒷산
주제: 식물의 이해
현장강의하는 시간인데 비가 와서 실내강의로 급히 바꿨는데 비가 안와서
1시간은 실내에서 강의듣고, 1시간은 문화원 뒷산으로 가서 현장교육으로했다.
지난시간에 이어 식물을 정식 분류법이 아닌 쉽게 구분하는 법
▉둘둘(2,2) 구분법
먼저 관목/교목/→침염/활엽→상록/낙엽으로 구분해나간다.
1. 직립성 목본식물
상록; 매년 새로운 잎이 나오며 잎색깔이 다르다
낙엽; 잎색깔이 다 똑같다(다 같이 새로나왔기 때문에)
잣나무: 잎이 5장은 같으나 수피가 거칠다
스트로브잣나무; 수피에 광택이 난다
단풍나무잎으로 마주나기하나 계곡주변에 있으면 →신나무
메타쉐쿼이아; 잎에 깃털이 있다
일본잎갈나무 = 흔히 낙엽송이라 불리는 나무다
생강나무; 잎이 3갈래로 예쁘게 나눠지면 생강나무 또는 백당나무다
상록활엽은 잎이 두껍고 반짝거린다.
2. 직립성 초본식물
그물맥 / 평행맥으로 크게 나눈다
토끼풀; 꽃하나에 하나씩 떨어지는 콩과식물 (박태기도 콩과식물)
괭이밥; 토끼풀과 흡사
사데풀; 바닷가에 흔히
개모시풀; 거북꼬리 비슷한데 잎이 큰것
거북꼬리; 잎의 가운데가 꼬리처럼 길다
닭의장풀; 잎뒷면이 잘 벗겨져서 새포관찰용으로 흔히 쓰인다
*제비꽃과; 꽃잎 4개는 작고 하나가 길다. ‘거’가 있다
줄기가 땅위로 올라오는것(콩제비, 졸방제비)가 있고 올라오지 않는것이 있다.
잎특징은 긴 삼각형
현호색과; ‘거’가 없다.
잎이 하트모양으로 광택이 나면 →마
3. 덩굴성식물
목본덩굴 ; 산에 있는 덩굴들
초본덩굴: 햇빗이 잘드는 풀밭에 있는것
산에 있는 덩굴로 포도잎같으면 모두 머루종류다
산에 있는 딸기 종류는 주로 산딸기나 명석딸기다
산딸기; 잎이 1개, 하늘로, 줄기가 붉다
멍석딸기; 잎이 3개
▉특징적인 과:
*국화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민들레형: 꽃잎이 하나씩 떨어진다 (망초, 코스모스, 뽀리뱅이)
해바라기형: 가운데가 둥굴게남는다 (뚱딴지)
엉겅퀴형: 꽃잎이 대롱모양, 잎끝이 길어지고 가시가 있다 (방가지똥, 샤데풀)
*꿀풀과: 줄기의 단면이 사각형이고 순형화관(나팔꽃모양에 끝이나눠짐)이다
같은 순형화관에 줄기가 원형이면 현상과(오동나무)
*벼과: 줄기단면이 원형 바람불면 넘어지는것이 특징, 이때 일으켜세워주지않으면
넘어진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달뿌리풀) - 그래서 벼가 쓸어지면 빨리 일으켜야함
사초과: 줄기단면이 삼각형이고 잎이 광택이난다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앞 풀밭에는 어떤 곤충이 있을까?(곤피아) (0) | 2008.09.29 |
---|---|
환경해설가교육(초급) 제8강-여울각시 (0) | 2008.07.27 |
환경해설가교육(초급) 제6강-여울각시 (0) | 2008.07.27 |
물 위에 떠있는 곤충 소금쟁이 ! -곤피아(강진모) (0) | 2008.07.27 |
환경해설가교육(초급) 제10강-여울각시 (0) | 2008.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