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6월 들살이 큐시트

320x100

6월 들살이

 

1. 장소 : 시흥갯골생태공원

2. 일시 : 2009.6.13(토)

3. 일정

 

시간

내용

준비물

8:00~8:30

출석확인.버스타기

,이름표, 플래카드,출석부,자료집,얼음물

8:30~9:30

갯골생태공원도착

버스 안에서 볼 씨디

9:30~10:50

갯골생태공원 돌아보기

줄, 오징어(게 낚시)

11:00~12:00

소래포구 장보기

모둠별 줄

12:00~1:30

대부도로 이동.점심먹기

 

1:30~2:00

자유시간(놀이한판)

놀이준비

2:00~4:00

나무해오기,불피우기,굽기,

간식먹기

철망,번개탄,고추장,나무젓가락,쓰레기봉투,호일,모종삽,칼,쟁반

4:00~4:30

들살이 정리,퀴즈,그림그리기.

선물

4:40분~5:30

철산역 도착

씨디

 

 

 

갯골생태공원 돌아보기

 

1. 벚나무-벚나무는 수령이 50년정도로 20~30년때가 꽃이 가장 아름다울때인데 여기 있는 벚나무들은 나이가 18년쯤 된다. 보통은 산벚나무이나 여기 있는 벚나무는 왕벚나무. 팔만대장경의 활판의 일부가 벚나무로 되어있다.

2. 해송- 바닷가에 있는 소나무. 북미에서 주로 수입되는 소나무를 ‘미송’이라 부른다. 소나무를 바닷가에 심는 것은 바람을 잘 막아주기 때문

3. 해당화- 아주 향기롭다 .해안사구식물로써 바닷가에 자라며 줄기에 가시가 아주 많다. 꽃은 화장품, 잎은 차로, 줄기는 그물염색에, 열매는 진통, 생리통에 치료.

4. 산철쭉- 영산홍과 비슷한데 영산홍은 잎이 조금 더 작다.

5. 회양목-1년에 2~3cm씩 아주 조금씩 자라서 목질이 단단해서 도장용으로 쓰인다. 마패.

6. 괭이밥- 고양이가 설사할 때 먹으면 약. 먹어보기.

7. 용버들-버드나무구멍에 벌레가 들어가서 인을 발생시켜 비오는날에 불빛을 내서 도깨비나무라고도 불림

8.부용(길 아래 식재). 대량으로 식재 부용 꽃은 못봤지만 부용 꽃은 너무 아름다워 꽃말이 섬세한 아름다움이래요

9.냉초(길 위 식재) 어린순은 나물로 먹어요. 뿌리를 말려서 생약재료로쓴대요. 대하증, 류머티즘, 관절염, 이뇨, 중풍, 변비에 사용

 

〈소래염전〉

 

-이곳은 1933년부터 염전이었는데 수입소금에 밀려 1996년에 폐염전이 되었다가 2001년에 체험학습장으로 조성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염전은 주안염전이다.

 

-소금을 만드는 과정: 염도2~3도의 해수→1차 해주에서 12일동안 10도→2차에서 4일동안 15~20도(이때 소금꽃이 핌) → 긁어모아 소금창고에서 건조

-해주=간수저장창고

- 소금창고=스시라는 일본에서 배 만드는 나무로 만들어 일제시대 만든 소금창고가 아직도 썩지않고 있음.

-소금은 송화가루 날릴때 만든 소금이 가장 맛있고 정육면체며 색은 흰듯하지만 실제는 투명하고 5가지맛을 다 가지고 있다.

 

-염전에 물을 댈때 지금은 전기로 하나 옛날에는 수차를 돌려서 했다. 수차가 낡아서 어른이 올라가면 부서지니 아이들만 한 사람씩 돌려보게 할 것.

-염전바닥이 흙인것도 있고 옹기조각인거, 타일로 된데도 있는데 흙염전 출신이 소금맛이 가장 좋지만 흙이 많이 섞여 생산량이 적어서 타일을 깐다고 함-민들레

 

 

〈염생식물〉

 

1. 나문재-나무모양이어서 나문재(?)한해살이풀로써 어린잎을 먹는다. 지금은 줄기의 일부가 빨갛게 되어있는데 가을 이되면 전체적으로 빨갛게 되고 열매는 별모양이다. 염분을 가장 싫어하는 편이라 기슭에 모여 자란다.

2. 칠면초-색이 7가지로 변해서 칠면초가 아니라 칠면조처럼 색이 붉게 변한다고해서 칠면초랍니다. 칠면초의 잎은 짧은 곤봉모양이고 옆으로 퍼지지 않는다는..칠면초는 작고 촘촘하게 모여 나서 멀리서 보면 붉은 주단같고 해홍나물은 큰 덩어리로 뭉쳐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농사짓다 망친 논같다네요..

3.해홍나물-나문재와도 칠면초와도 비슷.칠면초에 비해 해홍나물잎은 길고 가늘고 덩치도 커요

 

3. 퉁퉁마디(함초)-퉁퉁한 마디가 있어서. 미네랄과 비타민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고 조미료로 쓰인다. 따서 먹어본다.

 

4. 갯개미취-가을에 보라색의 꽃을 피운다. 들판엔 개미취

 

5. 모세달-갈대랑 비슷한 식물.모세달은 잎 중간에 하얀 선이 있구요, 갈대는 없어요. 모세달은 연한 녹색으로 꼿꼿이 서있구요, 갈대는 진한 녹색이고, 살짝 비스듬히 쓰러져있답니다

 

6. 갯쑥-허브향이 난다.

 

7.게-여기는 방게, 붉은발농게가 아주 많고 말뚝망둥어도 많이 보인다. 줄에 오징어를 달아 게쪽으로 내리면 게를 잡을 수 있다.

게는 아가미로 호흡하는데 물이 필요하거나 놀랐을때 거품을 내뿜는다→게거품

 

8.벌노랭이 -동그라미 2개가 붙은것 같은 란꽃이 마치 병아리처럼 귀엽고 앙증맞다.

[퀴즈]

1)소금이란?

“하얀 금”처럼 귀한 것. .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만들 때에 시체를 소금물에 담갔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토지를 비옥하게 하기 위하여 소금을 비료로 사용하였다. 또 그들은 인간의 생활에 중요한 소금을 신에게 바치고, 신에게 바치는 짐승의 고기는 짜게 하였다.

 

이런 풍습은 그리스 사람이나 로마 사람에게도 있었다. 그리고 소금이 물건의 부패를 방지하고, 물건을 불변으로 하는 힘이 있다고 하여 고대인은 소금을 변함 없는 우정 ·성실 ·맹세의 상징으로 생각하였다. 성서의 ‘소금의 맹세’는 이런 데서 생긴 것이다. 아랍인은 함께 소금을 먹은 사람을 친구로 여기는 풍속이 있다. 우리나라는 고구려때 소금을 남쪽 바닷가에서 가져왔다는 기록이 있다. 드라마 주몽을 보면 주몽이 소금을 남쪽으로부터 가져와 왕의 신임을 얻는 장면이 나온다.

 

2)소금은 바다에서만 구할 수 있다.? o (x)

 

3)소금은 바다가 아닌 바위에서도 구할 수 있는데, 바위에서 구하는 소금을 무엇이라고 할까? 암염 유럽 쪽 산위 바위에서 구할 수 있는 소금을 말한다. .

 

4) 암염말고 바닷물에서 나오는 소금을 무엇이라고 할까? 천일염..

왜 천일염이라고 할까?

-天日鹽 하늘과 해가 만들어주는 소금

5) 소금은 언제 생성이 되었을까?

45억년전 지구가 탄생되었을 때... 약 45억 년 전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구는 당시 뜨겁고 흐물흐물한 바위에서 가스를 뿜어내고 있었는데, 그 가스 속에는 수증기와 염화수소가 섞여 있어 바위 속 산화나트륨과 부딪히며 그중 일부가 염화나트륨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고 그후 지구가 차츰 식으면서 수증기가 비로 되어 땅위에 쏟아져 내렸는데 이때 소금도 함께 녹아 땅에 쌓이게 되었다.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무기물과 함께 염분은 물로 씻기어 바다 속으로 흘러들게 되었고 세월이 흐르면서 소금의 함양이 농축되면서 오늘날에 이른 결과 바닷물 속에는 약2,8%의 염분이 함유되게 되었다.

 

 

6) 소금이 하는 일(5가지)

- 음식의 간을 맞춘다.

- 사람의 몸에 꼭 필요하다.신진대사 활발,노페물 배출(오줌)

- 음식을 상하지 않게한다.

- 피부를 곱게한다.

- 상처나 병을 낫게한다.( 항균, 살균, 적혈구생성, 체액 균형맞추기, 노폐물 빼기 등등..)

- 빨래의 때를 제거한다.

- 카펫의 먼지 제거, 창틀 먼지제거 (먼지를 흡수하는 성질)

우리나라의 소금은 염화나트륨외에 다른 미네랄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서 세계적으로 품질이 좋은 소금에 속한다. 소금을 먹을 때는 미네랄을 몽땅 없앤 정제소금보다는 천일염을 먹는 것이 좋다.

 

7) 바닷물 속 염분의 양은? 2.8% 그러면 사람 몸에도 염분이 있는데, 혈액양의 몇 %일까? 0.9% 생리적 식염수

 

8) 염전은 크게 저수지, 증발지 (oo지)로 구별된다.

oo지는? 결정지

9)갯벌에서 본 칠면초.. 왜 칠면초라고 했을까? 가을이 되면 칠면조처럼 빨갛게 변한다고 ... 그럼 갯벌에서 본 염생식물 4가지 는? 나문재, 퉁퉁마디, 해홍나물, 칠면초... 이것들 중 바닷가에서 가장 멀리 사는 것과 가장 가깝게 사는 것 두가지는? 나문재.. 칠면초..

 

갯벌에서 할 수 있는 놀이

 

1. 모둠별로 조개껍질 10개, 게 3마리 잡아오기

2. 모둠별 동시에 뛰기(사진 찍어서 확인하기)

3. 갯벌빙고(빙고 판은 제가 만들어 갑니다.)-2명~3명씩 조를 지어 아래의 보기를 찾습니다. 찾아들고 오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보고 확인한 후 동그라미를 칩니다. 약 15분 정도의 시간을 준 후 모두 모여 자기가 발견한 항목들을 가지고 빙고 게임을 합니다. 가로.세로.대각선으로 빙고 5개가 먼저 나오면 승리!!!

빙고 게임 후 흰색이나 붉은색은 어디서 발견했는지, 발견한 곳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하고 이것들을 찾으면서 느꼈던 점을 이야기하고 마무리합니다.

짭짤한

바다내음

바닷가의 염생식물

새의 깃털하나

게가 기어가는 모습

갈매기 나는 모습

돌맹이

조개껍데기

시원한 바람

염낭게가 먹이를 먹고 뱉어놓은 모래더미

까칠까칠한 느낌

모래더미

쓰레기

다섯가지

갯강구

파도소리

따개비

부드러운 느낌

갯벌생물들이 만들어 놓은 구멍집

새들의 먹이 먹는 모습

날카로운 느낌

흰색

향기로운 것

냄새나는 것

물렁물렁한 것

구멍뚫린 조개껍질

게의 흔적

구멍-갯우렁이 구멍을 뚫고 조개를 잡아먹은 것

4. 갯벌줄다리기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