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온신초수업 - 애벌레편, 2009.6.10'

320x100
애벌레 되어보기
우리가 살아가면서 맨발로 땅을 밟을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될까?
숲을 맨발로 걷고 나무에 매달려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자.
눈을 감고 있으면 집중이 잘 되고, 평소 들리지 않던 소리도 들린다.
숲 속에서 눈을 감고 걸어보자. 촉각과 후각, 청각을 이용하여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애벌레가 되어보자
1. 시작하기전- 인간은 다섯가지 감각(청각, 시각, 미각, 후각, 촉각)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세상을 느끼며 살아가지만, 대부분은 시각에 의존한다. 특시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매우 많은 부분을 시각에 의존한다. 그러나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며 눈을 감으면 더 많은 것을 느끼고 볼 수 있다. 자연을 이해하는 다른 방법을 체험해보자
 2. 신발과 양말을 벗고 눈을 감고 앞사람의 어깨에 손을 넣고 일렬로 서서 따라간다.
3. 조용히 숲을 느낄수 있도록 유도
4. 발로 땅을 느끼고, 귀로 숲의 소리 들으며, 코로 숲의 냄새맡는다.
5. 어떤 느낌이었는지 생각 나눠보기
 * 하늘거울을 가지고 걸어보자 (여러가지 방법으로)
(눈을감고 조용히 숲 느끼기, 하늘거울 없이 먼저 걸어보기 등등)


애벌레 술래잡기
 애벌레들이 보호색을 나타내는 것이 어느 정도 효력이 있는지 아이들과 함께 놀이해보자.
애벌레를 찾아보는 놀이는 곤충의 세상을 좀 더 가까이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1. 다양한 색깔의 이수시개을 숲 가장자리에 숨겨둔다.
 2. 두명씩 짝지어 부부 새의 역할, 이쑤시개는 애벌레가 된다.
 3. 한 마리는 둥지를 지키고 다른 한 마리는 먹이(애벌레)를 찾아 나선다
 4. 일정한 시간안에 애벌레를 찾는 놀이로 누가 몇 마리나 잡았나 알아보자
5. 보색을 띠는 애벌레는 잘 보이고 자연색에 가까운 애벌레는 찾기 어렵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곤충들이 천적인 새들의 먹이가 되지 않게 위해 보호색을 띤다는 것을 이해한다.
6. 놀이가 끝나면 이쑤시개를 다같이 확인
 * 어떤색의 이쑤시개를 많이 찾았나?
 * 어떤 색의 이쑤시개를 찾기 어려웠나?
 * 숲속에 애벌레가 없다면?
 * 숲 속에 애벌레가 지나치게 많다면?

이계절 숲은 다양한 곤충들이 활동하는 만큼 곤충을 먹잇감으로 삼는 친구들로 분주하다.
그중 곤충에게 가장 무서운 존재는 날갯짓을 하며 날아오는 새들이다.
새들의 먹잇감이 되지 않기위해 곤충들은 다양한 생존전략을 펼친다.
바로 주변의 환경과 비슷한 옷을 입은 보호색이나 나는 맛이 없는 동물이야라고 말하듯 관심이 없는듯 또는
 나를 먹으면 독을 먹는것 이라고 하듯 경고색의 옷이나 새들이 무서워하는 동물의 형상을 하고 있는 옷을 입는다.
애벌레는 또 어떤 존재입니까? 우리가 징그럽다고 생각하는 애벌레는 알고 보면 나뭇잎을 먹기도 하고
각종 열매를 먹기도 하면서 생태계를 매우 다양한 상태로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인간이 생각하는 약육강식의 논리로는 애벌레는 벌써 지상에서 사라졌어야할 만큼 연약한 동물입니다.
하지만 인류의 삶보다도 더 긴 생명을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두뇌도 감히 따라잡을 수 없는
그들만의 뛰어난 생존을 위한 노하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강자의 눈을 피하기 위한 보호색이나 속임수
또는 3차원(실을이용해 매달리기 등)을 이용해서 위험으로부터 피하는 전략까지 정말 생존을 위한
그들의 노력은 우리를 대단히 놀라게 합니다. 그러한 애벌레들이 없었다면 존재할 수 없는 생물종들이
너무나 많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 애벌레 - 애벌레는 나방이 되기까지 오직 한 나무에만 기대어 자란다.
 애벌레들이 하는 짓은 기것 잎을 뜯어먹고 잠을 자고, 때가 되면 허물을 벗고 변태하는 게 전부다.
 너무나 한정된 공간에서 느릿한 행동을 반복한다. 조용하기만 할 것 같은 숲 속의 애벌레들은
 삶의 매 순간을 생존을 위한 사투로 살아간다.
* 새의 시야 - 새가 하늘에서 땅을 내려다보는 눈 (조감)
 * 애벌레의 시야 - 아래는 못보고 위를 볼 수 있다
* 뱀의 시야 - 땅의 진동을 이용해 사물의 위치 파악, 옆으로 보기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흥갯골생태공원  (0) 2009.06.13
6월 들살이 큐시트  (0) 2009.06.12
온신초등학교 프로그램  (0) 2009.06.11
환경해설가중급 제8강-곤충의 이해(이론)  (0) 2009.06.02
6월들살이 답사  (0) 2009.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