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겨울철에 보기 쉬운 겨우살이
"
"
겨울은 사람들을 비롯한 모든 생물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계절입니다.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야 하는 힘든 시련기이기 때문인데요.
이런 매서운 겨울에 추위를 이겨가며 번식을 위해 열매를 맺는 식물이 있답니다.
열매는 겨울에나 볼 수 있을 정도로 독특하게 살아가는 것이 있는데, 무엇일까요?
겨우살이라고 하는 식물입니다.
겨우살이는 나뭇가지에 겨우겨우 붙어서 살아가고 있고, 겨울에 유독 우리들 눈에 잘 뜨이기 때문에 겨울에 잘 살아가고 있어 겨우살이란 이름이 붙었는지도 모릅니다.
겨우살이는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으로 기생식물인데, 엄밀히 따진다면 반기생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겨우살이가 겨울에 잘 눈에 띠는 것은 기생을 하고 있는 나무들이 잎을 모두 떨구는 겨울에 유독 녹색의 잎과 줄기를 하고 있어 사람들의 눈에 잘 들어오는 것이랍니다.
그렇다보니 눈이 좋은 새들에게는 더욱 잘 발견되고, 가뜩이나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 맛있게 보이는 색깔의 열매를 새들이 그냥 놔둘리가 없습니다.
겨우살이는 대개 나무의 높은 지역에서 서식을 하고 있다보니 사람들의 손길이 미치치 못하기 때문에 번식을 하기가 쉽지 않을까 합니다. 만약 사람의 손이 잘 타는 곳에서 서식을 하고 있다면 사람들에게 의해 온전히 남아나지 않았을 겁니다.
높게 붙어있는 지금도 겨우살이를 채취하기 위하여 무참하게 나무가 잘려지는 수난을 당하고 있답니다. 겨우살이에게 터를 제공한 나무는 아마도 운이 억세게 없는 것 같습니다. 겨우살이에 의해 자신의 가지를 일부 내주어야 하기도 하지만, 성장 후에 사람들에 의해 나무 자체가 잘리면서 나무의 생명도 함께 하게 되니 말입니다.
겨우살이의 열매를 만져보면 끈적끈적한 느낌이 들 텐데요. 겨우살이의 열매에는 점액성
분이 있어 끈적거림이 있는데, 새들이 겨울에 열매를 먹이로 하고 나면 배설물을 통해 열매가 묻어나오는데, 끈적거림의 성분이 쉽게 새들의 항문에서 떨어지려 하지 않게 되며, 새들은 나뭇가지에 비벼서 씨앗을 떼어내려 하면서 씨앗이 나뭇가지에 붙어 있게 됩니다. 이렇게 나뭇가지에 붙은 겨우살이의 씨앗이 싹을 틔우면서 자라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겨우살이를 비롯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원도의 높은산 일대에는 참나무들에 기생하는 겨우살이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겨우살이는 약초의 한 종류로 약초를 채취하는 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진 이름입니다. 유럽에서는 우리나라 참나무에 서식하는 약초를 성분이 뛰어난 약초라고 하며, 최근 방송을 통해 암을 치료하는 독일의 자연치료모습이 방영되어 관심을 끌기도 하였습니다.
겨울에 우리들 눈에 잘 뜨이는 겨우살이의 모습을 관찰하기는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산들이나 자연휴양림을 찾아가면 겨우살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물론 낮은 곳에 있지 않기 때문에 목이 조금은 아프기도 하겠지만 조금만 관심을 갖으면 겨우살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집에 쌍안경이 있다면 꼭 가져가세요. 쌍안경은 새를 관찰하는 곳에 제일 요긴하게 쓰이지만 이렇게 식물을 관찰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답니다.
겨우살이를 발견하였다면 쌍안경을 이용하여 높이 있는 겨우살이를 관찰하여보면 콩알 만한 작은 열매를 찾을 수 있습니다.
"

겨울은 사람들을 비롯한 모든 생물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계절입니다.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야 하는 힘든 시련기이기 때문인데요.
이런 매서운 겨울에 추위를 이겨가며 번식을 위해 열매를 맺는 식물이 있답니다.
열매는 겨울에나 볼 수 있을 정도로 독특하게 살아가는 것이 있는데, 무엇일까요?
겨우살이라고 하는 식물입니다.
겨우살이는 나뭇가지에 겨우겨우 붙어서 살아가고 있고, 겨울에 유독 우리들 눈에 잘 뜨이기 때문에 겨울에 잘 살아가고 있어 겨우살이란 이름이 붙었는지도 모릅니다.
겨우살이는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으로 기생식물인데, 엄밀히 따진다면 반기생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겨우살이가 겨울에 잘 눈에 띠는 것은 기생을 하고 있는 나무들이 잎을 모두 떨구는 겨울에 유독 녹색의 잎과 줄기를 하고 있어 사람들의 눈에 잘 들어오는 것이랍니다.
그렇다보니 눈이 좋은 새들에게는 더욱 잘 발견되고, 가뜩이나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 맛있게 보이는 색깔의 열매를 새들이 그냥 놔둘리가 없습니다.
겨우살이는 대개 나무의 높은 지역에서 서식을 하고 있다보니 사람들의 손길이 미치치 못하기 때문에 번식을 하기가 쉽지 않을까 합니다. 만약 사람의 손이 잘 타는 곳에서 서식을 하고 있다면 사람들에게 의해 온전히 남아나지 않았을 겁니다.
높게 붙어있는 지금도 겨우살이를 채취하기 위하여 무참하게 나무가 잘려지는 수난을 당하고 있답니다. 겨우살이에게 터를 제공한 나무는 아마도 운이 억세게 없는 것 같습니다. 겨우살이에 의해 자신의 가지를 일부 내주어야 하기도 하지만, 성장 후에 사람들에 의해 나무 자체가 잘리면서 나무의 생명도 함께 하게 되니 말입니다.
겨우살이의 열매를 만져보면 끈적끈적한 느낌이 들 텐데요. 겨우살이의 열매에는 점액성
분이 있어 끈적거림이 있는데, 새들이 겨울에 열매를 먹이로 하고 나면 배설물을 통해 열매가 묻어나오는데, 끈적거림의 성분이 쉽게 새들의 항문에서 떨어지려 하지 않게 되며, 새들은 나뭇가지에 비벼서 씨앗을 떼어내려 하면서 씨앗이 나뭇가지에 붙어 있게 됩니다. 이렇게 나뭇가지에 붙은 겨우살이의 씨앗이 싹을 틔우면서 자라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겨우살이를 비롯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원도의 높은산 일대에는 참나무들에 기생하는 겨우살이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겨우살이는 약초의 한 종류로 약초를 채취하는 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진 이름입니다. 유럽에서는 우리나라 참나무에 서식하는 약초를 성분이 뛰어난 약초라고 하며, 최근 방송을 통해 암을 치료하는 독일의 자연치료모습이 방영되어 관심을 끌기도 하였습니다.
겨울에 우리들 눈에 잘 뜨이는 겨우살이의 모습을 관찰하기는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산들이나 자연휴양림을 찾아가면 겨우살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물론 낮은 곳에 있지 않기 때문에 목이 조금은 아프기도 하겠지만 조금만 관심을 갖으면 겨우살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집에 쌍안경이 있다면 꼭 가져가세요. 쌍안경은 새를 관찰하는 곳에 제일 요긴하게 쓰이지만 이렇게 식물을 관찰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답니다.
겨우살이를 발견하였다면 쌍안경을 이용하여 높이 있는 겨우살이를 관찰하여보면 콩알 만한 작은 열매를 찾을 수 있습니다.
320x100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의 선사유적-암사동 (0) | 2007.02.05 |
---|---|
비자나무 (0) | 2007.02.02 |
도롱뇽의 지혜 (0) | 2007.01.18 |
잡초라 불리는 풀들 (0) | 2007.01.18 |
식물의 가시 (0) | 2007.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