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해설가 중급심화-나무(2008) 지난 번 실내강의에 이어 애기능으로 현장수업을 나갔다. 박병권샘과 함께... 식물에 대한 설명을 들을 때마다 느끼는 것은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듯 보이는 나무들이지만 봄, 여름,가을,겨울을 지내면서 열매를 맺고 씨앗을 퍼뜨리는 삶의 과정이 정말로 치밀하고 계획적인데다가 새로운 환경에 대한 예지력과 모험심까지 가지고 있는 그들의 생태학적 생리는 정말 놀라울 뿐이다. 애기능 초입에 들어서자 늦털매미의 울음소리가 가열차다. 예전부터 늦털매미의 울음소리는 가을을 알리는 지표가 되었다. 또한 농부들은 이제 가을 벌판에 더이상 심을 곡식이 없음을 늦털매미의 울음소리로 알게된다. 매미들의 재미있는 습성은 매미들은 오줌구멍이 양쪽으로 두 개가 있어 오줌을 눌때 양쪽으로 조금씩 날려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왜 그런 행동을 .. 더보기
환경해설가 중급심화반 새(2008) 환경해설가 중급심화반 새 현장수업이다. 애기능 저수지부터 중간 습지를 거쳐 느티나무까지 진행되었다. 평소에는 보이지 않던 새가 보인다. 많이 보인다.ㅎㅎㅎ 가장 먼저 본 새는 어치이다. 이 녀석은 여러가지 소리를 흉내낸다고 한다. 머리가 좋은 녀석 중 하나이고, 구릉지에서 산다. 애기능 습지 옆 덤불에서 부지런히 무리를 지어 뾰로롱뾰로롱 날아다니는 붉은머리오목눈이이다. 겨울을 나기 위해 무리를 지어 산다고... 일명 뱁새라고 불리는 붉은머리오목눈이는 크기도 정말 작고 낮게 날아다닌다. 다음은 역시 작은새 박새이다. 박새는 박새,쇠박새,진박새가 있는데 목의 무늬로 구분할 수 있다. 박새는 검은색 띠가 목에서 배까지 쭉이어져 있고, 쇠박새는 나비넥타이를 한 것 처럼 목에만 딸랑 검은색 무늬가 있으며 진박새는.. 더보기
거미줄에 대한 궁금증 거미줄에 대한 궁금증(O X로 알아봅시다.) ◦ 모든 거미는 거미줄을 만들 수 있다. O ◦ ◦ 그물을 만드는 거미는 모두 둥근 그물을 만든다.X ◦ ◦ 거미줄은 낮에 주로 친다. X ◦ ◦ 거미줄은 거미의 몸속에 있을 때는 액체 상태이다. O ◦ ◦ 수컷은 성숙해지면서 거미줄 짓기를 그만 두고 암컷 주변을 배회한다. O ◦ ◦ 거미가 거미줄을 치도록 진화한 이유는 곤충이 날개를 달았기 때문이다. O ◦ ◦ 끈끈한 가로실은 보통 때의 4배까지 늘어날 수 있다. X(30% 늘어난다) ◦ ◦ 거미는 매일 자기 몸무게의 50%의 먹이를 먹어치운다. O(평균적으로) ◦ ◦ 잡힌 곤충은 모두 도망갈 수 없다. X(20%정도만 잡는다. 그래도 다른 동물의 2배의 확률임) ◦ ◦ 매일 새로운 집을 만든다. X(만들 .. 더보기